[뉴스 열어보기] "압사 위험" 4시간전부터 신고‥경찰 조치 없었다

  • 2년 전
◀ 앵커 ▶

‘뉴스 열어보기’ 시작합니다.

오늘 대부분 신문 1면에도 '이태원 참사' 발생 4시간 전부터 압사 사고를 우려한 112신고가 이어졌다는 기사가 실렸는데요.

◀ 앵커 ▶

오늘은, 긴급 출동이 필요하다고 판단해놓고 경찰이 현장에 나가지 않았다는 내용의 기사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 앵커 ▶

## 광고 ##동아일보입니다.

경찰은 자체 규정에 따라 112신고를 코드 0에서 4까지 다섯 단계로 분류합니다.

그런데 경찰청이 공개한 녹취록을 보면, 11건의 신고 전화 가운데 위급 상황임을 의미하는 '코드 0'이 1건, '코드 1'이 7건, 총 8건으로 분류됐습니다.

그런데도 이 8건 가운데 경찰이 실제로 출동한 건 단 한 번뿐이라는데요.

사고 발생 직전 걸려온 전화에는 비명도 들렸지만 경찰은 이 전화에도 출동하지 않았습니다.

◀ 앵커 ▶

한국일보는 '이태원 참사' 당시 구급차 진입이 지연되면서 '골든타임'을 놓쳤다고 지적했는데요.

신문이 참사 당일 현장 일대의 CCTV를 확인한 결과, 용산구청과 경찰 모두 불법주차 단속과 교통 통제를 제대로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불법 주차된 차들이 도로를 점령한 탓에 신고를 받고 출동한 구급차가 250미터 떨어진 현장까지 도착하는 데 14분이나 걸렸다고 합니다.

◀ 앵커 ▶

한국일보 기사 하나 더 보겠습니다.

서울시가 지난 2013년 '이태원동 보행환경 개선 사업'을 했지만 당시 '이태원 참사'가 발생한 해밀톤호텔 옆 골목은 손을 대지 못했다고 합니다.

토지 소유주가 31명으로 이해관계가 복잡한 데다 땅값도 비싸서 도로를 넓히는 것 같은 대책 없이 전신주와 통신선 지하화 작업 정도만 이뤄졌다는데요.

지자체가 개선 작업에 멈칫한 사이, 156명의 안타까운 시민들이 목숨을 잃었다고 신문은 지적했습니다.

◀ 앵커 ▶

세계일보는 '이태원 참사' 사고와 관련해 '사고 당일 이태원에 특별히 우려할 정도로 많은 인파가 몰린 것은 아니라'고 한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의 발언이 전혀 사실이 아니라고 설명했습니다.

신문이 서울교통공사로부터 최근 5년간 핼러윈데이를 앞둔 토요일 이태원역과 녹사평역, 한강진역의 이용객 수치를 받아 분석한 결과, 참사 당일 세 역의 이용객이 20만 명에 육박했다고 합니다.

코로나 사태 이전보다 30% 정도 많은 수치로 사고 시각에도 1만 명씩 쏟아졌다고 합니다.

◀ 앵커 ▶

이어서 경향신문입니다.

경찰청이 '이태원 핼러윈 참사' 이틀 뒤인 지난달 31일 진보·보수 성향의 시민단체 다수와 온라인 여론 동향, 언론의 보도계획 등 정보를 수집해 내부 문건으로 정리한 것으로 확인됐다는 소식입니다.

대통령실 등 상급기관에 보고하기 위한 예비자료로 추정되는 이 문건이 확인되자 파문이 일고 있는데요.

"정부 책임론이 부각될 조짐이 있다"며 일부 진보 단체들의 정권 퇴진 운동 가능성을 언급했고요.

"촛불집회 참석자 다수가 이태원에 합류했을 것"이라며 "촛불행동 측 책임을 주장할 것"이라는 보수단체 활동가의 말을 전한 내용도 있었다고 신문은 전했습니다.

◀ 앵커 ▶

한겨레는 '이태원 참사'가 발생한 지 나흘째가 되며, 애도에 집중하던 외신들도 하나둘씩 한국 정부 책임론을 지적하고 나섰다고 보도했습니다.

당국의 사전 대비가 충실했다면 충분히 피할 수 있는 '인재'였다고 꼬집었는데요.

미국 는 5만 5천 명의 관중이 동원된 그룹 방탄소년단 공연에 1300명의 경찰을 배치한 사례와 비교하며 치안 실패를 지적했고요.

"한국 관료들이 입을 굳게 다물고 있다"며 정부의 '책임 떠넘기기'도 비판했다고 신문은 전했습니다.

◀ 앵커 ▶

끝으로, 우리나라와 일본의 재난 정신의료 시스템을 비교한 동아일보 기사 보겠습니다.

일본 정부가 운영하는 '재난정신의료지원팀'은 재난 발생시 48시간 안에 현장에 즉시 투입되고요.

현장에서 트라우마 피해자들을 상담하고 약물 처방까지 하는 '야전 병원'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우리 보건복지부가 마련한 상담소는 서울광장과 녹사평역 분향소에 천막과 전용 버스로 만든 두 곳 뿐이고요.

그마저도 조문객이 몰리는 분향소에 꾸려져, 정작 트라우마가 가장 큰 유가족과 부상자를 위한 현장의 정신상담 지원은 빠져있다고 신문은 지적했습니다.

지금까지 '뉴스 열어보기'였습니?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