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택플러스] 반려로봇‥'교감'에서 '돌봄'으로

  • 2년 전
◀ 앵커 ▶

이번엔 또다른 인공지능, 로봇 이야깁니다.

1인 가구 증가와 고령화로 '반려로봇'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요.

노약자 '돌봄 서비스'까지 쓰임새가 확장되고 있습니다.

오상연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지난 4월, 일본의 소니가 공개한 반려로봇 '포이크'입니다.

"지금부터 주인님 얼굴을 익힐 거예요. 얼굴을 좀 더 가까이 보여주세요."

주인의 얼굴과 목소리 등을 인식해 친밀도를 높이고 일상적인 대화를 나눕니다.

요구 사항이나 궁금한 질문을 먼저 말하고 적극적으로 학습하기도 합니다.

올해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 전시회, CES에서도 손가락을 입에 넣으면 살짝 깨무는 반응을 보이는 로봇이 눈길을 끌었습니다.

"귀여운 동물이나 아가들을 키울 수 없는 사람들도 사랑스러운 촉감을 느낄 수 있는 거죠."

혼자 사는 노인의 식사시간이나 투약시간을 알려 주는 로봇 서비스는 이미 상용화됐고,

"어르신, 저녁 식사 시간입니다."

반려견처럼 훈련을 통해 학습이 가능한 로봇도 나왔습니다.

[아무튼 출근/29회]
"반려로봇, 득구?"
"득구 앉아! 토끼뜀!"

## 광고 ##국내에서도 이달부터 전남 순천시가 반려 로봇을 활용한 1인 고령 가구의 돌봄서비스 시범 사업을 시작합니다.

또 서울 금천구와 마포구 등도 1인 고령 가구 AI 돌봄 지원 사업을 도입하는 등 '반려로봇'을 활용하는 지자체가 늘고 있습니다.

MBC뉴스 오상연입니다.

영상편집 : 조민우 영상편집 : 조민우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