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회복 멈춤 호소"‥'4단계' 준하는 방역 강화 논의 중

  • 2년 전
◀ 앵커 ▶

정부는 이번 주 중반까지 상황을 지켜본 뒤에 특단의 조치를 취할지 결정하겠다는 입장입니다.

아마도 영업시간을 다시 제한하고 사적 모임의 인원수를 더 줄일 가능성이 있는데요.

이 경우, 자영업자 보상책도 함께 내놓을 것으로 보입니다.

박윤수 기자가 정부 대책을 전망합니다.

◀ 리포트 ▶

급증하는 환자들을 돌볼 병상과 인력이 부족한 의료 현장은 한계상황이라고 호소합니다.

[안수경/국립중앙의료원 간호사]
"업무 강도가 2~3배 이상 가중되었고, 보호복을 입고 들어가 3~4시간이 지나도 땀으로 온몸이 다 젖어있어도 병실에서 나오기가 어렵습니다."

일상 회복을 잠시 멈추자는 제안이 나왔습니다.

[나순자/보건의료노조 위원장]
"단계적 일상 회복 2주만 멈추고 중앙정부, 지자체, 공공의료, 민간 의료가 함께하는 총력 대응 체계를 구축할 것을 강력하게 촉구하는 바입니다."

전문가들은 지금도 늦었다며, 더 늦기 전에 당장 방역의 고삐를 조여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정재훈/가천대 길병원 예방의학교실 교수]
"유행 곡선을 좀 누그러뜨리고 그다음에 의료체계나 방역 의료체계가 개편될 수 있는 시간을 버는 관점에서 그런(방역 강화) 조치들이 필수적이라고 생각합니다."

## 광고 ##특단의 대책을 예고한 정부는 거리두기 4단계 수준의 방역 강화 방안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수도권의 경우 현재 6명인 사적 모임 규모를 4명 혹은 2명으로 축소하고, 식당과 카페 등 다중이용시설의 영업시간을 밤 9시나 10시로 제한하는 방안입니다.

[권덕철/보건복지부 장관]
"위기 상황의 반전이 어렵다고 판단될 경우, 국민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한 특단의 방역대책을 도입할 수밖에 없습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질병관리청과 보건복지부는 시간과 인원 제한을 같이 해야 한다고 얘기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에 대한 지원대책을 함께 마련해야 한다"며 별도의 보상책도 함께 논의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정부는 이번 주 중반까지 확진자와 위중증 환자 증가 추세를 보고, 의료 자원 상황 등을 종합 평가해 주 후반쯤 방역 강화 여부를 최종 확정해 발표하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MBC뉴스 박윤수입니다.

영상취재: 이주혁 / 영상편집: 권지은영상취재: 이주혁 / 영상편집: 권지은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