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통합당 상임전국위 무산…전국위는 개최

  • 4년 전
[뉴스1번지] 통합당 상임전국위 무산…전국위는 개최


오늘 정치권에는 어떤 이슈들이 있을까요.

김상일 시사평론가, 장성철 공감과 논쟁 정책센터 소장과 함께 집중 분석해 봅니다.

안녕하십니까.

총선에서 참패한 미래통합당 21대 국회 당선인들이 전국위가 열리기 전 한자리에 모여 당의 진로를 논의했습니다. 전국위원회를 5시간 앞두고 당선인 총회가 열렸습니다. 심재철 원내대표는 시작부터 김종인 비대위원장과 관련 '전권' 과 '무기한'에 대해 설명하며 화합과 단결을 강조했는데요. 비공개 총회에선 비대위 찬성파와 반대파가 맞붙어 격론이 일었다고 하죠?

전국위 부결 가능성까지 제기되자 당선자 총회 후 전국위 개최라는 절차적 정당성을 확보한 후 상임 전국위가 열렸는데요. 상임전국위 의결 정족수 23명 조차 채우지 못한 상황이 벌어졌습니다. 이대로 '김종인 비대위'도 불발되는 걸까요?

2016년 총선 패배 당시에는 당 지도부가 비박계인 김용태 의원을 혁신위원장으로 선임하기 위해 전국위를 소집했지만 친박계 반발로 의결 정족수를 채우지 못해 무산되기도 했죠. 일단 비대위는 출범했지만, 선거에서 패배할 때마다 출범한 비대위가 대부분 실패하지 않았습니까?

김종인 전 총괄선대위원장이 한 인터뷰에서 3040 표심과 대선을 언급하며 '가급적이면 70년대생' 그리고 '경제통' 이어야 한다고 이야기한 이후 40대 기수론의 후보들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테마주까지 들썩이는데요. '40대·경제통' 발언이 오히려 당내 갈등을 더 키우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어요?

'차기 대선후보 선호도' 살펴보겠습니다. 이낙연 전 총리는 11개월 연속 차기 대권 주자 지지율 1위를 차지하고 있는데요. 총선 후 지난달 조사 대비 10.5%포인트나 올라 40%를 돌파하며 독주체제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범진보·여권 후보들에 대한 기대는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는 뜻이겠죠?

눈에 띄는 인물은 1년 넘게 야권 대선주자 1위를 유지했던 황교안 전 미래통합당 대표입니다. 개인 순위도 떨어졌지만, 홍준표 당선인에게도 밀리면서 향후 정계 복귀도 쉽지 않아 보입니다. 한편 김종인 비대위 논란에 기름을 붓고 있는 홍준표 전 대표는 범보수? 야권 후보 중에는 1위에 오르면서 총선 당선 효과를 누리고 있는 것으로 보여요?

하루 차이로 원내대표 선거가 열리는 미래통합당은 여당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용한 분위깁니다. 원내대표 경선 출마를 선언한 당선인도 없는 상황인데요. 후보군은 다양한데요, 김종인 비대위와 손발을 맞출 인물, 누가 적합한 후보라고 보십니까?

민주당은 오늘 원내대표 경선 후보 등록이 마감됩니다. 지금까지는 4선의 김태년, 정성호 의원과 3선 전해철 의원, 3파전 양상이죠. 비주류는 정성호 의원 하나지만, 친문계는 '부엉이 모임' 좌장 역할을 맡고 있는 전해철 의원과 이해찬계로 꼽히는 김태년 의원이 나란히 출마하면서 표 분산 전망도 나오고 있죠?

당선인 163명 가운데 초선 당선인 68명이 41.7%나 되는 만큼, '캐스팅 보트'가 될 텐데요. 아무래도 공천 과정 속에서 친문성형이 크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더불어시민당 비례대표 15번을 받은 양정숙 당선인과 관련해 부동산 실명제 위반부터 세금탈루를 위한 명의신탁까지 재산 관련 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 민주당에선 총선 전에 의혹들을 확인하고 후보 교체 목소리까지 나왔다고 하는데요. 총선 전에 사퇴 권유가 필요하지 않았을까요?

제명이 이뤄지더라도 당선인 신분이 유지되기 때문에 본인이 사퇴하지 않는 이상 법적으로 다뤄야 하는데요. 당에선 제명과 함께 고발까지 검토한다고 합니다. 제명되면, 더불어시민당이 아닌 무소속으로 의원직을 유지하면서, 시민당 다른 후보가 비례대표를 승계할 수는 없게 되는 거죠?

통합당은 오거돈 전 시장뿐 아니라 여권 인사들을 둘러싼 각종 의혹을 펼치며 총공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총선 결과를 두고 사퇴 시점을 문제 삼을 것이 아니라, 각종 의혹에 대해 여당이 정확한 진상을 밝히도록 것이 중요하지 않을까요? 민주당에서는 오 전 시장의 사퇴만으로 별도의 소명자료조차 받지 않고 제명한 상황, 꼬리 자르기로 비칠 수 있는데요?

더 큰 문제는 따로 있어 보입니다. 입장 번복을 막기 위해 공증까지 받고 사퇴할 생각이었으면, 업무 인수인계도 당연한 절차 아니었을까요? 시정 공백을 막기 위한 준비를 전혀 하지 않고 잠적해 버린 무책임한 태도는 크게 비판받아야 하지 않을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