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호의 경제읽기] 미국 SVB '초고속' 파산…우리 경제 여파는?

  • 작년
[김대호의 경제읽기] 미국 SVB '초고속' 파산…우리 경제 여파는?


미국 내 16위인 은행이자 글로벌 벤처기업의 자금줄 역할을 해왔던 실리콘밸리 은행인 SVB가 결국 파산했습니다.

국제통화기금인 IMF는 SVB의 파산이 국제 금융 안정성에 미칠 영향을 주시하고 밝혔는데요.

우리 정부도 이번 사태가 한국 경제에 미칠 파장을 예의주시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관련 내용,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짚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미국 실리콘밸리은행인 SVB가 파산했습니다. 자금 위기가 불거진 지 채 이틀도 안 된 시점이라 더욱 충격이 큰 상황인데요. 스타트업 업계의 주요 금융기관으로 우뚝 서기까지 40여 년이 걸린 SVB가 초고속 파산을 하게 된 이유는 뭔가요?

SVB가 실리콘밸리의 든든한 자금줄이었던 만큼 이번 파산 여파로 미국의 벤처와 스타트업 기업들의 줄도산 우려도 제기되고 있는데 시장 분위기는 어떻습니까?

영국과 캐나다를 비롯해 아시아 곳곳에서도 자금 마련에 대한 어려움을 겪는 기업이 생길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SVB가 영국과 캐나다, 중국, 인도 등에 지사를 두고 있기 때문인데 글로벌 경제 여파는 어떨까요?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은 SVB 사태에 대한 구제금융 가능성을 일축했는데 자신감의 배경은 뭘까요? 미국도 더 이상 고금리 안전지대가 아닌 것 같은데 제2의 SVB 우려는 없나요?

SVB 사태에 대한 우리 경제 후폭풍은 없을지도 궁금합니다. 국민연금이 SVB 그룹 주식을 보유하고 있었다는데 규모가 어떻게 되나요? 손실은 불가피한 건가요?

미국 정부는 SVB에 맡긴 돈을 보험 한도와 상관 없이 전액 보증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금융시장의 충격을 덜기 위한 조치로 보이는데 이렇게 되면 안심해도 되는 상황인가요?

한편, SVB의 갑작스러운 파산은 연준 통화정책의 새로운 변수로도 떠오르고 있습니다. 연준의 급격한 금리 인상이 SVB 파산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기 때문인데 이번 달 FOMC는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한은 또한 향후 기준금리 추가 인상에 신중해질 수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4월 금통위에서 SVB의 파산이 어떤 변수가 될까요?

#실리콘밸리은행 #SVB_파산 #국제통화기금 #금융시장 #연준_통화정책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