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대란 해법은 에너지 자립 - 어떻게 가능할까?

  • 2년 전
◀ 앵커 ▶

이 사안 취재한 경제팀 김윤미 기자에게 몇 가지 더 물어보겠습니다.

김 기자, 그 왜 겨울 오기 전에는 겨울이 얼마나 추웠는지 잊어버리잖아요.

공공기관 실내온도를 18도에서 17도, 1도 내리는 건데, 17도가 어떤지 잘 실감이 안 나요.

이게 일하기 어려울 정도입니까.

◀ 기자 ▶

에너지 시민단체가 예전에 취약계층 가구의 겨울철 실내온도를 조사한 적이 있는데요.

## 광고 ##취약계층 가구의 평균온도가 17도였습니다.

당시 전문가들이 3도는 올려야 한다, 적정온도는 20도라고 권고했었거든요.

17도면 상당히 춥게 느껴질 온도입니다.

내의도 입고, 겉옷도 입고 있어야 하는 수준입니다.

그래서 정부가 이 방안을 추진하면, 공무원과 공공기관 직원들은 불만이 상당히 클 거고, 반발할 것 같습니다.

그런데도 이걸 추진하는 건, 지금이 그만큼 위기 상황이라고 보는 겁니다.

하지만 이게 실질적인 대책은 아닙니다.

그래서 공공기관 실내온도 제한은 실질적 대책이라기보다는, 상징적 조치라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 앵커 ▶

그럼 정부가 이런 상징적 조치 말고, 실질적인 대책도 곧 내놓을까요?

근본적 해법은 어떤 게 있을까요?

◀ 기자 ▶

아마 대책을 내놓긴 하겠지만, 특히 산업 분야에서는 한계가 뚜렷할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 전기의 53%는 산업이 쓰고 있습니다.

독일은 우리보다 GDP 규모가 두 배인데, 에너지 사용량은 거의 비슷하거든요.

반도체와 철강 같은 우리나라 주력 산업이 다 에너지를 많이 쓰는 분야라, 당장 에너지를 아끼는데 구조적 한계가 있습니다.

그래서 나오는 또 한 가지 대책은 에너지 해외 의존도를 줄이는 것, 즉 에너지 자립입니다.

유럽도 이번 우크라이나 전쟁 위기를 겪으면서, 에너지 자립의 필요성을 뼈저리게 깨달았습니다.

독일은 현재 40% 정도인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앞으로 8년 뒤 80%까지 올리는 법을 통과시켰습니다.

러시아 천연가스에 의존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여준 겁니다.

우리나라도 이런 에너지 위기를 반복해서 겪지 않으려면, 장기적으로 석유나 천연가스 의존도를 낮추고, 재생에너지 비중을 늘리는 더 근본적 대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영상편집 : 민경태
영상편집 : 민경태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