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맞불’…AS망 따라 테슬라 보조금 깎는다

  • 2년 전


[앵커] 
미국이 자국에서 생산된 전기차만 보조금을 주기로 하면서 현대기아차에 비상이 걸렸죠.

전기차 보조금을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해 쓴다는 것인데, 우리 정부도 보조금 지침 변경을 검토중입니다.

어떻게 바꾸겠다는 것인지 이민준 기자가 설명합니다.

[기자]
요즘 팔리는 자동차 10대 중 1대가 전기차입니다.

7월에는 지난해보다 2배 넘는 1만 4천여 대가 팔렸고 전기차 누적 등록 대수도 30만 대를 넘어섰습니다.

차값은 비싸지만 정부와 지자체 보조금을 받으면 일반차와 가격이 비슷한데다 유지비는 훨씬 덜 들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정부가 전기차 보조금 지침 변경을 검토 중입니다.

지금은 차량 금액에 따라 5500만 원 미만이면 100%, 8500만 원까지는 50%의 보조금만 지원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내년부터는 서비스센터나 인력 등 AS망 질에 따라 보조금을 다르게 지급할 수도 있습니다.

차 팔고 끝이 아니라 안전을 위한 유지보수 등 사후관리까지 꼼꼼히 따져보겠다는 겁니다.

이 경우 직격탄을 맞는 건 국내 전기차 판매 3위지만 정작 서비스 센터는 전국에 9곳뿐인 테슬라입니다.

[테슬라 '모델3' 2020년식 차주]
"저 같은 경우에는 교통사고가 한번 났었습니다. 그때 차가 파손된 상태로 두 달을 넘게 탔습니다. 다른 차에 비해서 서비스센터가 많다고 생각했는데 막상 서비스센터도 예약이 꽉 차있고…"
 
반면 전국 수백 곳에 서비스센터가 있는 국내 완성차 업체는 100% 보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번 지침 개정이 한국 전기차를 보조금 대상에 뺀 최근 미국 조치에 대한 맞대응 아니냐는 얘기도 나옵니다.

환경부는 "아직 확정된 게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지만 미국처럼 국내에 공장 지으라곤 못해도 최소한 소비자 보호를 위해 AS센터 확충을 유도할 수 있는 정책이란 평가가 나옵니다.

채널A 뉴스 이민준입니다.

영상편집 : 최창규


이민준 기자 2minjun@ichannela.com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