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사보도 뉴스프리즘] 소비자물가 2.5% 상승 10년 만에 최고…대안은?

  • 2년 전
[탐사보도 뉴스프리즘] 소비자물가 2.5% 상승 10년 만에 최고…대안은?

[오프닝: 이광빈 기자]

시민의 눈높이에서 질문하고, 한국 사회에 화두를 던지며, 더 나은 내일을 만들어 가는 시작합니다! 이번 주 이 주목한 이슈, 함께 보시죠.

[이광빈 기자]

2022년 세계 경제를 전망할 때 가장 많이 등장하는 단어는 인플레이션과 금리입니다. 새해 미국은 금리 인상에 돌입하며 본격적인 인플레이션 대응을 예고했는데요. 이런 가운데 걷잡을 수 없이 확산하는 오미크론 변이가 경제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습니다. 워싱턴 이경희 특파원입니다.

[신년에도 화두는 인플레이션…미국 긴축 돌입 / 이경희 기자]

미국은 1년 전에 비해 물가가 7% 가까이 급등하며 40년 만에 최악의 인플레이션에 직면했습니다.

예상보다 빠르게 경제가 회복되면서 소비가 급증하고 있지만, 공급망 교란 등의 여파로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고 시중에 어느 때보다 많은 돈이 풀리며 자산 가치도 치솟고 있기 때문입니다.

비단 미국뿐 아니라 영국, 독일 등 유럽에서도 우려스러운 수준의 물가 상승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물가가 많이 올라서 돈의 가치가 전과 같지가 않습니다. 에너지, 통신비, 식료품, 기름값 모든 것이 예전처럼 안정적이지 않아요."

그러자 지난 달부터 서방 주요국들은 속속 긴축 전환을 선언하며 돈줄을 죄기 시작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위축보다는 높은 물가상승률이 지속될 가능성에 더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입니다.

미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는 자산매입 축소 종료 시기를 앞당기며 올해 세 차례 금리 인상을 예고했고 영국 중앙은행인 영란은행은 제로금리 유지 전망을 깨고 깜짝 인상을 단행했습니다.

"높은 인플레이션은 코로나19 대유행과 주로 연관돼 있지만 이제 더 넓은 범위의 상품과 서비스로 확산됐습니다. 우리는 생산성을 초과하는 지속적인 실질임금 인상이 인플레이션에 상승 압력을 가할 수 있다는 위험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다만 대유행 초기 주요국이 일제히 대규모 경기부양책을 도입하고 금리를 인하했던 것과 달리 긴축 전환에 있어선 그 속도에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유럽중앙은행은 채권 매입은 중단하겠다면서도 금리 인상에는 선을 그었습니다.

아직 유로존 경제가 완전히 회복되지 않은 상황에서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다시 위축될 수 있단 전망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현 상황에서는 전에도 말했듯이 2022년에 금리를 인상할 것 같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한편에선 오미크론이 공급난을 가중시켜 인플레이션이 심화할 수 있단 우려가 제기되면서 대응을 더 어렵게 만들고 있습니다.

새해에도 인플레이션이 화두가 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치솟는 물가와 아직 완전하지 않은 경제 회복 사이에서 각국의 고민은 깊어질 전망입니다.

워싱턴에서 연합뉴스TV 이경희입니다.

[이광빈 기자]

글로벌 인플레이션이 올해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국내 물가도 비상입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인상을 강하게 시사했는데요. 고물가에 경기 침체가 겹친 '스태그플레이션'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됩니다. 정부가 물가 대책을 내놓긴 했지만, 일각에서는 효과가 크지 않을 거란 지적이 나옵니다. 차승은 기자입니다.

[글로벌 인플레에 국내 물가도 비상…"경기침체 우려" / 차승은 기자]

정부가 전망한 올해 소비자 물가상승률은 2.2%.

한국은행이나 한국개발연구원KDI가 전망한 값보다도 크고, 6개월 전 정부 전망치 1.4%보다도 대폭 올랐습니다.

전 세계 인플레이션 영향으로 당분간 수요와 공급 양측에서 상방 압력이 지속될 것으로 판단한 겁니다.

"오미크론 등 코로나 재확산, 공급망 차질,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 등 글로벌 리스크가 경기, 물가, 자본 유출입의 불확실성을 높이고 있고…"

물가 관리에 빨간불이 켜지자 한국은행은 기준금리 인상에 나섰습니다.

지난해 두 차례 기준금리를 인상한 한은은 올해에도 최소 두 차례 금리를 인상할 거란 전망이 우세합니다.

문제는 현재 물가 오름세에 글로벌 공급망 교란이 크게 작용하고 있어 금리 인상 효과가 크지 않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유동성 확장에 대한 부분은 정부가 기준금리 인상을 통해 일부 조정할 수가 있지만 글로벌 공급망 교란에 따른 부분은 조정이 어려워서 실질적인 인플레이션이 진행될 가능성은 높다고…"

오히려 기준금리 인상으로 시장 금리가 올라 대출이 부실화하고 경제가 침체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고물가 속 경기침체, 스태그플레이션입니다.

정부는 물가 부처 책임제를 도입하는 등 물가 안정에 주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농축산물 가격은 농식품부가, 석윳값은 산업부가 맡는 등 각 부처가 소관 품목 물가를 책임지는 겁니다.

이와 함께 품목별로 세액이나 가격을 낮추거나 할인쿠폰을 발행해 소비자들의 부담을 낮추기로 했습니다.

"농·축·수산물 할인쿠폰을 내년(2022년)에도 지속 지원하고… 세제·금융지원 등을 통해 원재료발 가격 상승 압력을 완화하겠습니다."

전문가들은 가격 통제가 일시적인 효과를 보일 수는 있겠지만 인플레이션의 원인이 공급에 있기 때문에 근본적인 해결책은 될 수 없다고 지적합니다.

"유동성 확장 그리고 글로벌 공급망 교란에 따른 부분과 같은 근본적인 원인이 치유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효과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고요."

정부는 1분기 공공요금을 동결하면서 4월 이후 전기요금과 가스요금 인상을 예고한 상태….

물가 관리와 전력·가스 공기업의 재무 상황 모두를 고려한 고육지책으로 보입니다.

코로나19로 가뜩이나 힘든 상황에서 서민들은 가계 운영을 걱정 해야 하고, 새 정부는 물가 안정이라는 시험대에 오를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연합뉴스TV 차승은입니다.

[코너:이광빈 기자]

리포트에서 보셨듯이 조금이라도...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