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 신문 보기] 마스크값 폭등…지자체, 저소득층 지원 '비상'

  • 4년 전
◀ 앵커 ▶

이어서 오늘 아침신문 보겠습니다.

◀ 앵커 ▶

먼저, 한국경제입니다.

◀ 앵커 ▶

보건복지부는 지난해부터 국비에 지자체 예산을 매칭해 지원하는 방식으로,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에게 마스크를 지원하는 사업을 하고 있는데요.

그런데 코로나19 감염증 여파로 마스크 가격이 폭등하면서 지자체들의 '저소득층 마스크 지원사업'에 비상이 걸렸다고 합니다.

최근 시중 마스크 가격이 개당 2~3천 원으로 폭등했지만, 사업에 책정된 예산은 마스크 한 개당 8백 원 수준에 불과하기 때문이라는데요.

이런 탓에 입찰공고를 올려도 입찰이 지지부진한 상황이라고 합니다.

◀ 앵커 ▶

코로나19 여파로 전국에서 어제까지 졸업식을 취소하거나 연기, 또는 간소화한 대학이 120여 곳에 달한다고 합니다.

그렇다 보니 학사모를 쓰지 못해서, 또 졸업식 사진을 남기지 못해서 아쉬워하는 졸업생과 학부모가 많다는데요.

이런 상황을 고려해 졸업식을 여름에 통합해 진행하거나 졸업 사진 촬영을 위해 학위복을 대여하는 등 나름의 절충안을 내놓은 학교들도 있지만, 아직 일정이 결정되지 않은 곳이 많아서 아예 졸업을 연기하는 학생들도 있다고 합니다.

◀ 앵커 ▶

한편, 코로나19로 복지단체·시설들이 잇따라 무료 급식을 중단하면서 저소득층 어르신들이 큰 고통을 겪고 있다고 합니다.

서울시 등에 따르면, 지자체의 지원을 받아 어르신 무료 급식을 제공해 온 176개 복지단체 가운데 144곳이 이달 초부터 점심 급식을 중단했습니다.

면역력이 약한 노년층에서 코로나19가 확산할 경우, 피해가 심각해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라는데요.

문제는, 일부 급식소는 간편식품 배달서비스를 실시하지만, 대다수가 대체 수단을 마련하지 못한 탓에 어르신 상당수가 끼니 걱정을 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이렇게 결식이 발생할 경우, 정부와 지자체 차원에서 보다 촘촘한 복지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고 신문은 지적했습니다.

◀ 앵커 ▶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면역력 강화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데요.

한국식 밥상에서 빠질 수 없는 김치와 사포닌이 풍부한 인삼이 면역력을 높여준다는 사실은 우리 국민이라면 누구나 아는 상식이 된 지 오래죠.

농업·식품 관련 기관들은 김치와 인삼 외에도, 일상 식생활에서 섭취할 수 있는 대표적인 '면역 식품'으로, 대파와 양파, 마늘, 돼지고기 등을 꼽는다고 합니다.

또, 면역세포의 원료가 되는 필수 아미노산이 풍부한 고단백 식품을 많이 먹을 필요가 있다고 신문은 조언했습니다.

◀ 앵커 ▶

지난주 한 농구선수가 자신의 SNS에 대한농구협회가 2021 국제농구연맹 아시안컵 대회 예선 대비 훈련을 위해 마련한 선수촌행 버스 사진을 올렸습니다.

좁은 버스 안에서 선수들이 불편하게 앉아 있는 모습도 함께 게시했는데요.

협회는 "25인승 버스를 16인승으로 개조한 리무진 버스에 9명만 탄 것"이라고 해명했지만, 28인승 버스와 대여 예산이 고작 30만 원 차이 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예산을 어디에 쓰길래 장신의 국가대표 농구 선수들을 마을버스 같은 곳에 태우느냐"는 여론의 비판이 일었다고 합니다.

◀ 앵커 ▶

최근 노량진 학원가 등 수험생·취준생이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스파르타식' 독서실이 인기라고 합니다.

1분이라도 늦으면 입실 금지, 독서실 입구에서 휴대전화 압수, 쉬는 시간은 10분.

규칙을 어긴 회원은 페널티로 벌금을 내고 벌점까지 받는다고 합니다.

벌점이 일정 수준을 넘어가면 환불 없이 영구 퇴실 조치를 당한다는데요.

어찌 보면 심하다고 생각될 정도의 통제이지만 반대로 그만큼 규칙적인 생활이 가능하다 보니, 혼자 공부하는 데 애를 먹는 학생들은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이라고 하네요.

◀ 앵커 ▶

안전사고 발생 시 어린이집과 유치원 등의 응급조치 의무화를 담은 '해인이법'.

2016년 8월, 해인이가 숨진 지 4개월이 지나 발의됐지만 그로부터 3년이 훌쩍 넘은 지금까지도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에 계류돼 있다고 합니다.

교통사고로 아이를 잃은 가족들이 국회를 찾아 의원들에게 무릎을 꿇고 어린이생명안전법안 통과를 호소한 덕분에, 지난해 11월 가까스로 상임위 법안심사소위에서 법안이 의결됐지만, 만약 20대 국회 임기 내에 법안이 통과되지 ?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