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청문회 '열자 VS 미루자' 속내는? / "파쇼 같은 심상정", "막가지 마세요"

  • 5년 전
◀ 앵커 ▶

정치적 참견시점, 박영회 기자 나왔습니다.

첫 소식, 조국 청문회 열자 대 미루자, 그 속내는..

그러고보면 조국 후보자, 검증으로 세상이 시끄러운데, 정작 청문회 일정은 아직도 안 잡혔죠?

◀ 기자 ▶

네, 다른 장관 후보자들 청문회 일정은 속속 잡히고 있는데, 조국 후보자는 아직입니다.

왜 그런지 여야 입장 들어보시죠.

[이인영/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자유한국당은 조국 청문회를 할 것인지 말 것인지 분명하게 대답하길 바랍니다. 한일 경제전 와중에 쏟아졌던 국민들의 비판을 지워버리고 문재인 정부를 흔들려는 정략적 의도가 다분합니다."

[황교안/자유한국당 대표]
"단언컨대 조국은 청문회 자리에 앉을 자격도 없는 사람입니다. 청문회부터 열자는 청와대와 여당의 주장은 청문회 하루만 넘기면 임명을 강행하겠다는 꼼수에 다름 아닙니다."

법 대로라면 이달 30일까지 청문회를 열어야 하는데, 하필 27-28일이 한국당 워크숍, 30일은 민주당 워크숍입니다.

민주당은 워크숍 빠져도 된다. 빨리 하자, 한국당은 부득이한 경우 미뤄도 된다는 예외조항도 있으니, 9월 초에 하자는 겁니다.

◀ 앵커 ▶

날짜 잡는 것까지 기싸움이 벌어졌는데, 여야 각각 이유가 있겠죠?

◀ 기자 ▶

네, 조국 논란이 불거진 뒤, 한국당을 괴롭히던 친일 프레임은 얘기가 쑥 들어갔습니다.

주말부터 장외 투쟁도 재개하는 한국당, 이 공세를 오래 유지하고 싶을 겁니다.

반면, 지지율이 흔들리는 민주당은, 청문회로, 이 상황이 빨리 끝났으면 싶겠죠.

야당이 반대해도 장관 임명이 가능하니까, 내심 임명을 강행하려는 속내도 있을 겁니다.

정쟁에만 치우치고, 청문회와 상관없이 임명은 강행하고 반복된 청문회 무용론은 국회 스스로 해결해야 할 숙제가 됐습니다.

◀ 앵커 ▶

다음 소식 보죠,

"파쇼 같은 심상정", "막가지 마세요"

정의당 심상정 의원과 누가 설전을 벌였나봐요.

◀ 기자 ▶

선거법이 걸린 정치개혁특위에서였는데, 먼저, 오늘 선거법 둘러싼 공방 들어보시죠.

[김세환/중앙선관위 사무차장]
"(개정안이) 현행보다는 이론적으로 비례성이 높아지는 것이…"

[김재원/자유한국당 의원]
"요즘 말로 정말 삶은 소대가리가 웃을 이야기지…중앙선관위가 합리적인 이유도 없이 (특정 당에) 부화뇌동해서…"

[김종민/더불어민주당 의원]
"목소리를 좀 낮춰주시고…"

[김재원/자유한국당 의원]
"지금 위원장이 왜 끼어들어요?"

[임이자/자유한국당 의원]
"너무 편파적으로 운영하지 마세요!"

[장제원/자유한국당 의원]
"질의하는 방식까지 관여하지 마세요!"

[김종민/더불어민주당 의원]
"고압적으로 질문 하지 마시고…"

[김재원/자유한국당 의원]
"고압적으로 회의 진행하지 마세요."

중앙선관위가 선거법 개정안이 지금보다 표심을 더 반영할 거라고 밝히자, 한국당 의원들이 반발을 한 건데요.

문제는 정치개혁특위의 활동기한, 두 달 연장했는데도, 이제 불과 9일 남았다는 겁니다.

한국당이 시간을 끈다 지적이 나오면서 설전은 계속됐습니다.

이어 들어보시죠.

[심상정/정의당 의원]
"저는 금메달이라도 드렸으면 좋겠어. 회의 지연 능력에 대해서…"

[장제원/자유한국당 의원]
"시간 끌기 금메달이니, 이런 소리를 하십니까?"

[심상정/정의당 의원]
"공부하라고 준 시간동안에 공부 하나도 안 하고 있다가 (들어보세요) 지금 졸업해야 되는 날, 졸업논문 쓰려고 그래요."

[장제원/자유한국당 의원]
"언제부터 우리 심상정 위원장이 이렇게 파쇼가 됐는지 모르겠어. (아니아니아니) 착각 좀 하지 마세요."

[심상정/정의당 의원]
"이렇게 막가지 마세요."

[장제원/자유한국당 의원
"자신이 얘기하면 전부 개혁이야, 전부 다 정의고…"

◀ 앵커 ▶

고작 9일 안에 선거법 마무리지을 수 있나요?

◀ 기자 ▶

한국당은 그 9일 동안 최대한 논의하고, 안 되면 기간을 또 연장하자는 입장입니다.

민주당과 정의당은 충분히 논의했는데, 이제와서 한국당이 트집이다. 빨리 표결처리하자는 거고요.

4월 말 국회 폭력사태를 불렀던 선거법 개정안, 다시 양측이 첨예하게 맞서고 있습니다.

◀ 앵커 ▶

또 충돌하는 건 아닌지, 지켜봐야겠습니다.

지금까지 박영회 기자였습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