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무사 군인들이 세월호 유가족 성향 보고

  • 6년 전

◀ 앵커 ▶

국군 기무사령부가 세월호 사고 당시 유가족들의 성향을 파악해서 상부에 보고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당시 기무사 대원들이 어떤 활동을 했는지 유충환 기자가 국방부 발표 내용을 토대로 행적을 재구성 해봤습니다.

◀ 리포트 ▶

세월호 사고 발생 13일째인 2014년 4월 28일.

이미 156명의 사망자가 발견됐고, 찾지 못한 바닷속 146명에 대한 수색이 한창 진행 중이던 이날, 국군기무사령부 내에 세월호와 관련된 특별 전담팀, 태스크포스가 은밀하게 꾸려집니다.

육군소장급 참모장을 단장으로 사령부와 현장 기무부대원 60명으로 조직됐습니다.

이들의 임무는 구조나 현장 지원이 아닌 '정탐'.

이들은 마치 민간인인양 사복을 입은 채 현장에 투입돼 실종자 가족이나 유가족들이 정부에 어떤 요구를 하는 지, 내부 분위기는
어떤지 등 일거수일투족을 파악해 상부에 보고했습니다.

특히 실종자 가족과 유가족들의 성향을 분류해 문서에 명시했습니다.

아들을 찾지 못한 아버지에게 정부에 대한 불만이 많다며 '강경'

여론을 주도하거나, 장례식장의 정부 조화를 치웠다는 이유로 '강경' 또는 '중도'로 분류하는 식이었습니다.

심지어 세월호 사고 발생 5개월 전 대통령을 비방하는 댓글을 남겼다는 사실까지 캤습니다.

슬픔에 잠겨 있는 실종자 가족들을 "이성적 판단을 기대하기 곤란한 상태"라고 표현하며, "온건 성향자부터 개별 설득이 필요하다"고 보고하기도 했습니다.

국방부는 이번 사건을 기무사의 세월호 유가족에 대한 민간인 사찰로 규정하고, 관련자 모두를 군검찰단과 민간 검찰에 넘기기로 했습니다.

MBC뉴스 유충환입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