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현장] LH '순살아파트' 파장 계속…한동안 멀리한 무량판 구조 왜

  • 9개월 전
[뉴스현장] LH '순살아파트' 파장 계속…한동안 멀리한 무량판 구조 왜


LH가 발주한 아파트 단지 중 지하주차장 철근을 빠트린 15개 단지의 명단이 공개된 데 이어 정부는 민간 아파트까지도 점검할 예정인데요.

일부 아파트는 주거동에도 '무량판 구조'를 썼다고 알려지면서 파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반복되는 부실시공 논란, 대책은 없는지 장석환 대진대 건설시스템공학과 교수와 짚어봅니다.

지하주차장 철근을 빠뜨린 LH 아파트 단지가 전국에 한두곳이 아닌 것으로 드러나면서 파문이 큰데요. 무량판 구조를 적용한 거죠?

무량판 구조는 삼풍백화점 사고 이후 고층 건물 공사현장에서는 한동안 멀리했다고 하죠.

LH는 '무량판 구조' 자체보다는 설계, 시공상 문제가 크다는 입장이죠. 하지만 무량판 구조로 시공할 때 철근 보완작업이 필수라고요?

이번 '철근 누락' 사태와 관련해 정부가 무량판 구조를 특수구조 건축물로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해요. 특수구조물로 지정하면 뭐가 달라지는 건지요?

건설업계 안팎에서는 '이권 카르텔' 문제에 대한 지적도 나옵니다. 현재 건설업계 구조와 시공관행에 문제가 있다는 건데요. 이건 어떤 얘깁니까? 정확히 현재 건설업계 실태가 어떤가요?

정부가 공개한 철근 누락 아파트에 살고 있거나 입주 예정인 분들은 정말 청천벽력 아닙니까? 불안감이 확산하고 있는데…보강 공사를 한다고 일부 아파트는 철제 기둥 (잭 포트)로 받쳐놨는데 더 불안하지 않을까요?

정부가 무량판 구조를 사용한 293개 민간 아파트 단지에 대한 전수조사에 들어갈 예정입니다. 2017년 이후 준공된 아파트가 대상인 이유가 있나요?

국토부는 이달 중에 본격적으로 점검에 돌입합니다. 민간 아파트 조사 결과는 언제쯤 나올까요?

'무량판 구조' 아파트에 대한 점검이 민간아파트까지 확대된 건데요 문제 적발 시 기업 이미지가 실추될 수 있기 때문에 건설업계도 비상일 것 같아요?

국토부는 철근 누락이 확인된 LH 아파트 15개 단지 이름을 공개했습니다. 하지만, 민간 아파트의 경우 단지명을 일일이 밝히지 못할 가능성도 나오는데요. 이유가 뭔가요? 그렇게 된다면 부실시공 사실을 모르고 입주하는 사람들도 생겨나지 않겠습니까?

끝으로요. 사실 우리나라는 건설 강국으로 불립니다. 세계 각국에서 건설 수주를 맡아 초고층 빌딩, 랜드마크 등을 짓기도 하는데요. 그런데 왜 철근이 빠지는 이런 기본적인 안전 문제가 생기는 걸까요? 어떤 부분이 가장 먼저 해결돼야 한다고 보세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