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폭로 때마다 “더는 도·감청 안 한다”

  • 작년


[앵커]
미국 국방부는 감청 문건 유출과 관련해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고 있습니다.

잊을만하면 이런 일이 터지죠.

동맹국 독일 메르켈 총리 휴대폰을 10년 넘게 도청한 적도 있었죠.

정다은 기자 보도 보시고 대통령실 출입하는 아는기자와 자초지종을 알아보겠습니다.

[기자]
미국 국방부는 "극비 내용을 포함한 문건의 유효성을 검토 중"이라며 국가 안보와 동맹들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관계부처들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법무부와 연방수사국에 수사도 의뢰했습니다.

미국이 신호와 정보의 합성어인 시긴트 방식을 통해 동맹국을 도감청한다는 의혹이 드러난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닙니다.

지난 2013년 미국 정보요원이었던 에드워드 스노든은 국가안보국이 민간인 사찰 프로그램을 통해 우방국 정상 등을 감시한다고 폭로했습니다.

[에드워드 스노든 / 전 미국 국가안전보장국 요원(2015년)]
"독일, 프랑스 같은 동맹국들도 감찰 대상입니다. 오히려 한국이 감시당하지 않을 이유가 있는가? 라고 묻는 것이 더 타당할 정도입니다."

당시 메르켈 독일 총리의 휴대전화가 10년 넘게 도청된 사실이 밝혀지자 독일 측은 공식 항의했고, 오바마 미국 전 대통령은 더 이상 도감청을 하지 않겠다고 약속했습니다.

그러나 미 국가안보국이 2012년부터 2014년까지 덴마크 통신 케이블을 이용해 유럽 정치인들의 전화 통화 등에 접근했다는 사실이 추가로 폭로됐습니다.

이번에는 40일 전 상황이 담긴 기밀까지 포함됐습니다.

[데이비스 생어 / CNN 정치·안보 평론가]
"인상적인 부분은 (유출된) 문서 중 다수가 약 한 달 정도 지난 '3월 1일' 날짜가 적혀있다는 것입니다."

한국과 함께 감청 대상이 된 이스라엘과 프랑스 등은 문건 내용이 사실이 아니라고 반박했고, 우크라이나는 군사계획을 바꾸고 있다고 현지 언론이 전했습니다.

중국 관영매체는 "한국이 양국 관계에서 불평등한 지위에 있는 탓"이라며 "호랑이 앞잡이가 되면 호랑이에게 물린다"고 주장했습니다.

채널A 뉴스 정다은입니다.

영상편집 : 차태윤


정다은 기자 dec@ichannela.com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