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브리핑] 불면증 의심 김정은, 남한 겨냥 전술핵탄두 공개
  • 작년
[한반도 브리핑] 불면증 의심 김정은, 남한 겨냥 전술핵탄두 공개


[앵커]

지난 한 주간의 한반도 정세와 외교·안보 이슈를 다시 정리해보는 토요일 대담 코너 '한반도 브리핑'입니다.

연합뉴스TV 베이징 특파원과 연합뉴스 북한부를 거쳐 현재 국제 분야를 맡고 있는 이봉석 기자 나와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기자]

네, 안녕하세요.

[앵커]

먼저 주요 이슈부터 소개해주시죠.

[기자]

김정은 위원장이 새벽 5시까지 일한다고 노동신문이 보도했습니다.

식량난이 심각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인민을 위해 노력하는 이미지를 주기 위한 목적이지만, 실상은 건강 문제 때문 아니냐는 관측도 있습니다.

김 위원장이 전술핵탄두를 처음 공개했습니다.

남한을 겨냥한 무기 8종에 장착 가능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전술핵탄두 공개가 7차 핵실험을 예고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북한이 전술핵탄두를 공개한 날, 미국의 핵 추진 항공모함 니미츠함이 부산에 입항했습니다.

정부가 북한의 충격적인 인권 실태를 기록한 북한인권보고서를 처음 공개했습니다.

[앵커]

김정은 위원장이 새벽 5시까지 일한다면서 노동신문이 '애민 지도자' 이미지를 부각시켰죠.

하지만, 건강 이상일 가능성이 있다면서요.

[기자]

네, 먼저 '인민의 어버이'라는 제목의 북한 기록영화를 먼저 보시겠습니다.

작년 10월 공개된 건데요. 김정은 위원장이 인민을 위해 헌신하는 모습을 주민들에게 보여주며 우상화하기 위해 제작됐습니다.

김 위원장이 야간에 활동하는 모습들도 나옵니다.

우선 세계적으로 코로나가 한창이던 작년 5월 의약품 공급 실태를 확인하기위해 직접 약국을 방문했고요.

"경애하는 원수님 오시면 안됩니다. 여기가 어디라고 안됩니다. 허나 일신의 위험은 아랑곳하지 않으시고 약품 공급 실태를 하나하나 세심히 요해(이해)하시며 밤이 깊도록 끝없는 노고의 자욱 이어가시었으니…"

한겨울 현장시찰을 마치고 돌아오는 모습도 있습니다.

노동신문은 최근 김 위원장이 새벽 5시까지 일한다는 일화를 소개했습니다.

불면불휴, 잠도 자지 않고 쉬지도 않는다는 건데요.

"어려서부터 밤을 새우며 일하는 것이 습관이 됐다"는 김 위원장의 발언도 소개됐습니다.

조용한 밤에 생각에 집중하는 게 제일 좋다고도 했습니다.

하지만, 밤에 잠을 이루지 못하는 게 건강 이상 때문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국정원은 2016년 국회 정보위원회에 김 위원장이 신변 위협 때문에 많이 고민하고, 불면증에 걸려 잠을 잘 자지 못한다고 보도했습니다.

최진욱 전 통일연구원장도 외신과 인터뷰에서 "김 위원장이 술을 많이 마신 후 울곤 한다고 들었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

[앵커]

이번엔 밤인지 낮인지 알 수 없지만 김정은 위원장의 공개 행보를 통해 남한을 겨냥한 무기들에 탑재할 전술핵탄두가 처음 공개됐죠.

[기자]

네, 북한 매체들은 화요일 김정은 위원장이 '핵무기 병기화 사업 지도'를 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 모습을 담은 사진들도 실렸는데, 이 가운데 전술핵탄두 실물이 등장합니다.

모양은 국방색 케이스에 담긴 뭉툭한 빨간색 색연필처럼 생겼는데요.

전술핵탄두의 이름은 '화산-31'이고요.

직경 약 50cm, 길이 1m 정도입니다.

북한 매체의 관련 보도 연이어서 들어보시겠습니다.

"(김정은 위원장은) 우리의 핵무력을 임의의 핵긴급 정황에도 대처할 수 있는 믿음직한 역량으로 강화하기 위한 사업에 이바지한 진함없는 노력과 이룩해놓은 커다란 성과를 높이 평가하셨습니다."

"핵무기 보유량을 기하급수적으로 늘일 데 대한 당 중앙의 구상을 철저히 관철하기 위해 무기급 핵물질 생산을 전망성있게 확대하며 계속 위력한 핵무기들을 생산해내는 데 박차를 가해나가야 한다고 하시면서…"

김 위원장은 핵탄두 보유량을 기하급수적으로 늘리라고 지시했었는데요.

이번엔 핵탄두 '화산-31'은 10개 정도가 늘어서 있는 모습이 보였고요.

북한은 현재 핵탄두를 50개 안팎으로 보유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습니다.

또 북한이 공개한 사진 가운데 벽면에 이 핵탄두 장착이 가능한 무기들 사진이 걸려있는데요.

'북한판 이스칸데르'로 불리는 KN-23과 600㎜ 초대형 방사포, 수중 핵 드론 해일, 장거리 전략순항미사일 화살 1,2 등입니다.

모두 남한을 타격권에 넣는 무기들입니다.

전문가의 얘기도 들어보시겠습니다.

김열수 / 한국군사문제연구원 안보전략실장> "KN-23, KN-23 개량형, KN-24, KN-25, 해일 그리고 화살 1, 화살 2, 전술유도탄무기 총 8종이잖아요. 8종에 이것을 다 탑재할 수 있거든요. 탑재하면 이게 왜 조금 부담스러우냐하면 사거리가 400에서, KN-23 개량형 같은 경우에는 800㎞까지 간다는 말이죠. 그러면 사거리가 400~800㎞라고 하는 것은 우리 남한 전역이 사거리에 해당되잖아요."

당초 우리 군은 북한이 초대형 방사포나 장거리 순항미사일 등에 핵탄두를 탑재할 기술을 가졌는지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이었습니다.

하지만, 이번에 북한은 핵탄두의 소형화와 대량생산을 위한 규격화를 과시하려한 것으로 보입니다.

북한은 핵탄두에 일련번호를 붙인 모습까지 공개했고요.

국가 핵무기 종합관리체계가 '핵방아쇠'라고 밝혔습니다.

조만간 핵가방이 등장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습니다.

[앵커]

북한이 7차 핵실험을 벌일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는 벌써 1년 전부터 나왔는데, 북한이 이번에 전술핵탄두를 공개한 것이 핵실험을 예고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죠.

[기자]

네, 북한은 과거에도 두 차례 핵탄두 모형을 공개한 적이 있습니다.

핵실험 예고라는 분석이 나오는 건 이번 전술핵탄두 공개가 과거 핵실험을 하기 이전의 보도 행태와 매우 비슷하기 때문입니다.

2016년 5차 핵실험 직전에 북한은 둥그런 핵탄두 모형을 공개했고요.

2017년 6차 핵실험 전에는 장구형 핵탄두 모형을 공개했었습니다.

특히 6차 핵실험 전과 이번 노동신문의 보도가 거의 비슷해 조만간 북한이 7차 핵실험을 단행할 것이라는 관측도 있습니다.

김...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