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프라임] 중국발 입국자 방역 강화…'단기 비자·항공 증편' 제한
  • 작년
[뉴스프라임] 중국발 입국자 방역 강화…'단기 비자·항공 증편' 제한


중국 코로나19 상황 악화로 중국 입국자에 대한 방역을 강화합니다.

일단 위중한 상황으로 보고 있다는 건데, 문제는 얼마나 효과를 거둘 것인가입니다.

신상엽 한국의학연구소 상임연구위원과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중국이 방역 조치를 완화한 뒤 코로나 확산세가 심각해지면서 우려가 나옵니다. 그러자 방역 당국이 중국 입국자를 대상으로 방역을 강화했는데, 지금과 어떻게 달라집니까?

입국 전과 후에 모두 검사를 의무화하는 건 상당히 강도 높은 조치인데요. 그만큼 정부가 상황을 심각하게 보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을까요?

중국에서 다른 나라를 거쳐 우리나라로 들어오는 사례도 있지 않겠습니까? 이번 규제 강화 조치가 실효성이 있을까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이 중국에 빗장을 높이고 있는 반면, 영국과 프랑스 등 나라들은 아직 규제를 조치할 계획이 없다는 입장입니다. "중국 내 바이러스가 특별히 위험하다는 징조가 없다며 과학적 관점에서 봤을 때 국경에 통제를 되살릴 이유는 없다"고 말하는데, 이런 주장은 어떻게 들으셨습니까?

대규모 유행 후 인도에서 델타,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오미크론 변이가 발생한 것처럼 중국에서도 새로운 변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요?

중국에서 유행 중인 BA.5가 사람의 뇌에 심각한 손상을 줄 수 있고, 또 이전의 BA.1보다 더 큰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우려가 나오는데요?

정부는 이르면 1월 말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를 해제할 수도 있다고 예고했는데, 이처럼 중국발 코로나 확산세가 우리나라에도 영향을 줄 수도 있는 상황이면 다음 달 시행은 어렵지 않을까요?

중국 내 확진자가 급증하자 국내 감기약과 해열제 대란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 의약품을 대량으로 구매해 중국으로 보내는 이른바 사재기 사태가 일어난 건데요. 이에 정부가 감기약 판매 수량을 제한하기로 했는데, 필요할 때 못 살까 우려하지 않아도 될까요?

중국 내 감염 속도가 매우 빠른 만큼 1∼2달 이내에 중국 내 유행세가 안정될 가능성도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데요?

현재 국내 코로나 상황은 어떻게 진단하고 계신가요?

#중국발입국자 #방역강화 #단기비자 #항공증편제한 #코로나검사의무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