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번지이슈] '레고랜드 사태' 후폭풍…채권시장 냉각·자금조달 비상

  • 2년 전
[1번지이슈] '레고랜드 사태' 후폭풍…채권시장 냉각·자금조달 비상

■ 방송 :
■ 진행 : 정영빈, 이윤지 앵커
■ 출연 : 이인철 참조은경제연구소장

금리도 오르고 있는데 레고랜드 어음 부도 사태까지 터지면서 불안 심리가 시장을 흔들고 있습니다.

채권시장이 얼어붙고 우리 기업들의 자금경색 문제가 심각합니다.

'돈줄'이 꽉 막혀버린 상황, 정부가 일단 50조 원을 풀기로 했습니다. 이번 긴급 수혈이 자금시장 안정에 도움이 될지 자세한 내용 이인철 참조은경제연구소장과 알아보겠습니다.

최근 금리 급상승에 레고랜드의 채무 불이행이 겹치면서 자금시장이 경색되고 있는데요, 일단 레고랜드 사태가 뭐기에 시장이 요동치고 있는 건지, 정리해주시겠습니까?

김진태 강원도지사가 내년 1월 29일까지 강원도 예산으로 빚을 전부 갚겠다고 밝혔는데, 시장이 좀 안정될 수 있을까요?

최근 최고 신용등급의 기업인 한전이나 한국도로공사도 연이어 회사채 발행에 실패하고 있습니다. 이게 어떤 의미인지 설명해주신다면요?

현재 회사채 시장의 경색은 불가피한 현상인데 이번 레고랜드 사태가 불난 집에 기름을 부은 격이다, 이렇게 보면 될까요?

가장 부실화가 우려되는 곳이 지방의 프로젝트 파이낸싱이라고 하던데, 왜 그런 건가요?

2008년 금융위기 당시에는 PF보증 여파로 40여 곳의 건설사가 문을 닫았었는데, 현재 상황은 어떤가요?

이번 자금 경색이 금융권에 리스크로 이어질 거란 전망도 있던데요?

기업의 자금 조달이 어려운 상황, 주식 시장이나 실물 경제까지 영향을 미치지 않겠습니까?

자금시장 경색이 심화되자 정부가 긴급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50조원 넘는 유동성을 시장에 공급할 예정인데, 효과가 있겠습니까?

한국은행이 최근 물가를 잡기 위해서 금리를 계속 올리고 있는데, 시중에 유통되는 돈이 말라버리면서 기업들의 줄 도산이 우려되는 상황, 한은으로서는 딜레마일 거 같은데요?

일단 당국의 개입으로 일단 급한 불을 끌 수는 있겠지만 근본적인 원인인 부동산 시장 경기 침체는 이어지지 않을까요? 당분간 위기 상황도 계속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