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민생” 정청래 “김건희”…민주 지도부 역할 분담?

  • 2년 전


■ 방송 : 채널A 뉴스 TOP10 (17:20~19:00)
■ 방송일 : 2022년 8월 30일 (화요일)
■ 진행 : 김종석 앵커
■ 출연 : 서용주 더불어민주당 상근부대변인, 이현종 문화일보 논설위원, 최병묵 정치평론가, 최진봉 성공회대 교수

[김종석 앵커]
서용주 대변인님, 저 부분이에요. 물론 당 대표는 큰 그림을 그릴 수 있는데, 최고위원들이 지금 이재명 대표와 가깝다는 평가들이 많으니, 이재명 대표가 조금 더 공격적으로 할 말들을 최고위원들이 대신하는 것 아니냐. 역할 분담. 이게 지금 새 지도부가 그렇게 진영이 꾸려졌다는 데에 동의하세요?

[서용주 더불어민주당 상근부대변인]
전혀 동의할 수는 없죠. 왜냐하면 이거는 이제 ‘왜 이렇게 생각을 하지?’라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정치, 그러니까 각 정당은 다 똑같습니다. 국민의힘, 자유한국당, 한나라당, 새누리당. 이 정당에서 지도부가 구성될 때에는 각자의 주특기에 맞게끔 임무를 줘요. 그리고 당 대표는 그걸 총괄해서 메시지를 하는 것이고요. 근데 그 민주당도 각 최고위원에 맞춰서 뭔가 주특기를 준 거예요. 근데 이거를 무슨 대여 공세를 높이자? 하여튼 그럴 수도 있죠, 야당이니까. 이런 파트를 잘할 수 있겠어? 그러면은 대여 공세는 정청래·서영교 최고위원을 줄 수 있는 것이고. 근데 이게 뭐 잘못됐나요? (아니요, 잘못됐다고 하는 건 아닙니다.)

그런데 이거는 비단 민주당만 그러는 게 아니라 국민의힘도 지도부를 가만히 보시면 각자 파트가 있어요. 문재인 전 대통령을 예전에 공격했던 파트, 뭐 김영숙 여사, 아니면 다른 의혹 부분. 그래서 ‘그런 식으로 역할을 분담하는 것들이 통상적인 정당의 지도부의 운영 방식이다.’ 정도 이해하면 될 것 같고요. 그런데 저는 이재명 대표의 첫 일성이 저는 굉장히 높게 봅니다. (민생이요?) 그렇죠. 민생과, 반대로는 또 견제. 두 가지를 이야기했잖아요. 저는 이런 톤으로 쭉 메시지를 가면서 현 정부, 그러니까 윤석열 정부가 조금 부족하고 지지율이 떨어지고 국정이 난맥상을 보이지만, 서로 조금 협치하는 모습들을 먼저 내보이는 것들이 굉장히 이재명 대표로서는 첫 출발이 좋다는 평가를 조금 덧붙이고 싶습니다.

--------------------------------------------
* 위 텍스트는 실제 토크 내용의 일부분입니다. 전체 토크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정리=김희진 인턴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