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도 판박이…교제 거절하자 성폭력에 2차 가해

  • 3년 전


군 내 성추행 피해자가 극단적인 시도를 선택하는 일이 공군과 해군에 이어 육군에서도 있었습니다.

피해자 가족은 군의 회유와 합의 종용까지 있었다고 주장합니다.

육군은 다르다던 육군 참모총장의 호언장담이 무색하게 됐습니다.

유주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해 4월 임관한 육군 A 하사.

직속 상관인 B 중사의 교제 제안을 거절했습니다.

이후 지속적인 스토킹과 성희롱, 업무상 보복에 시달렸습니다.

A 하사는 넉달 뒤 부대에 신고했고 가해자와 분리됐지만 2차 가해는 피할 수 없었습니다.

피해자의 가족은 청와대 국민청원을 올리고 "신고를 막으려는 회유와 합의 종용이 있었다"고 주장했습니다.

B중사는 해임돼 강제 전역했지만 형사처벌은 피했습니다.

A하사는 수 차례 극단적 선택을 하고 현재 병원에 입원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A 하사 측은 지난 6월 공군 여중사 사망 사건으로 진행된 군 성폭력 특별 신고기간에 이 사건을 재차 신고했습니다.

육군참모총장이 국회에서 육군은 공군과 다르다고 장담하던 때입니다.

[기동민 / 더불어민주당 의원(지난 6월)]
"은폐하거나 회유되거나 축소되거나 지연되거나 이런 일들이 누적적으로 반복되어서 곪아터지는 것이지. 사례가 한 번도 없었다, 책임질 수 있으세요?"

[남영신 / 육군 참모총장(지난 6월)]
"육군에서 이렇게 사건을 지연 처리한 적이 없습니다."

하지만, 공군에 이어 해군에서도, 이젠 육군에서도 비슷한 사건이 터져나왔고, 부실한 대처, 판에 박힌 사과도 똑같았습니다.

[서욱 / 국방부 장관(지난 6월)]
"공군 성추행 피해자 사망사건 등으로 유족과 국민 여러분께 큰 심려를 끼쳐 드리게 되어 매우 송구합니다."

오리발 귀순, 부실 급식 사태 등에 대해 8번이나 사과했지만 서 장관의 거취에 대해 청와대는 아무런 언급이 없는 상태입니다.

채널A 뉴스 유주은입니다.




유주은 기자 grace@donga.com
영상취재 : 김명철
영상편집 : 유하영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