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기 신도시' 2차 조사 결과 발표…28명 적발

  • 3년 전
'3기 신도시' 2차 조사 결과 발표…28명 적발

[앵커]

정부가 3시 신도시 관련 토지거래를 한 지자체 공무원과 지방 공기업 직원 28명을 추가로 적발했습니다.

이 중 23명은 투기가 의심돼 수사 의뢰를 하기로 했는데요.

청와대도 행정관 이하 전수조사에서 경호처 직원 1명을 의심 사례로 발견했습니다.

성승환 기자입니다.

[기자]

3기 신도시 땅 투기 의혹과 관련한 정부합동조사단의 2차 조사는 해당 지방자치단체 개발업무 담당 공무원과 지방 공기업 직원 8,78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습니다.

이 중 28명이 3기 신도시 지구나 인접 지역 내 토지 거래를 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지자체 공무원이 23명, 지방공기업 직원이 5명이었는데요.

정부합동조사단은 28명 가운데 23명은 투기가 의심돼 수사 의뢰를 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나머지 5명은 가족 간 증여로 추정되는 거래가 확인됐으며, 향후 수사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정부 합동 특별수사본부에 이첩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토지거래 외에도 3기 신도시 인접 지역에서 아파트 등 주택거래를 한 사람은 237명으로 확인됐습니다.

아울러 조사단은 이번 조사대상 가운데 개인정보를 제출하지 않은 127명의 명단을 특별수사본부에 통보하기로 했습니다.

청와대는 지난 11일 1차로 비서관급 이상 고위직에 이어 오늘 행정관 이하 직원 및 가족 등에 대한 전수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일단 청와대는 대통령비서실과 국가안보실 직원 중 공적 지위나 정보를 이용한 거래는 없는 것으로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토지 거래가 있었던 3명을 발견했는데, 자체 조사 결과 공적 정보를 이용한 투기로는 판단되지는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럼에도 한 점 의혹을 남기지 않기 위해서 공개하며 정부합동특별수사본부에 수사 참고자료로 전달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환경정리 담당 기능직원 1명과 부처 파견 행정요원의 가족, 군 파견 행정관의 가족 등 3명인데, 각각 신도시 지역 내 토지나 인근 주택을 거래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그러나 대통령비서실과 별도 조직인 대통령 경호처에서 투기 의심 직원이 나왔습니다. 경호처 자체 조사에서 4급 직원 1명이 2017년 9월 LH에 근무하는 형 등 가족과 공동명의로 3기 신도시 지역 토지를 매입한 사실이 발견됐습니다.

경호처는 지난 16일 사실관계를 확인한 즉시 해당 직원을 대기발령 했습니다.

청와대에서 연합뉴스TV 성승환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