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사라진 회계장부…"회장도 리베이트 알았을 것"

  • 3년 전
◀ 앵커 ▶

중외 제약이 병원 수백 곳을 상대로 불법 리베이트를 뿌린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다는 소식, 어제 보도해 드렸습니다.

경찰은 이 회사가 조직적으로 증거를 없앤 혐의도 수사 중인데 이 모든 혐의에 회사 최고 수뇌부가 관여했다는 걸 입증하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김수근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지난 7월, 서울 서초동의 중외제약 본사에 경찰 수사관들이 들이닥쳤습니다.

2016년부터 4년 동안 전국 680여 병원에 뒷돈, 즉 리베이트를 뿌렸다는 혐의를 밝히기 위해 회계 장부 등을 확보하기 위해서였습니다.

하지만 문서 창고엔 현금 전표와 경비 전표가 상당수 남아 있지 않았습니다.

상법과 법인세법에 따라 5년 동안은 관련 서류를 반드시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중외제약은 "보관해야 할 일부 문건을 직원이 실수로 파쇄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해명했습니다.

지난해 매출액이 5천억 원이 넘는 대형 제약회사의 설명이라고 하기엔 어딘지 궁색해 보이는 대목입니다.

## 광고 ##경찰도 의도적이고 조직적인 증거인멸이 있었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이미 중외제약은 경찰에 제출한 임직원의 계좌번호에서 숫자 0으로 시작하는 계좌번호에서 0을 빼고 제출했었고, 다시 제출해달라고 하자 개인정보라 동의를 받아야 한다며 제출할 수 없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2019년 1월 경찰 수사에 앞서 진행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압수수색 때는 1층 안내데스크 직원이 비상벨을 눌러 전 직원에게 알리고, 일부 직원이 중요 문건을 들고 도망가기도 했습니다.

경찰은 중외제약에 대해 이틀 째 추가 압수수색을 벌였습니다.

압수수색 대상에는 본사 건물 뿐 아니라 인천 수원을 비롯한 5개 지사도 포함됐습니다.

경찰이 특히 주목하는 부분은 회장을 포함한 중외제약 최고 경영진의 불법 리베이트 개입 내지 묵인 여부입니다.

특히 불법 리베이트 자금줄이 됐던 '직원 인센티브' 제도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비전 프로그램'이라는 이름의 직원 인센티브 제도는 일 잘하는 영업 사원이 받을 수 있는 돈이 아니었다는 게 수사 결과 어느 정도 드러났습니다.

[중외제약 전직 영업사원]
"담당자(영업사원)가 일을 잘해서 인센티브를 받는 것처럼 꾸며져 있는 거지, 인센티브는 아니거든요. 실제로는 거래처(병원)에 제공되어야 할 돈들이니까…"

경찰은 이 '비전프로그램'에 연간 70억원이라는 거금이 들어갔다는 점, 대표이사에 이어 중외제약 회장이 최종 결재를 했다는 점을 이미 확인했습니다.

또 경찰은 이미 구속된 대표이사와 임직원들이 단체 텔레그램 대화방에서 리베이트를 의미하는 보고를 주고받고 매달 실적을 공유한 것은 전사적인 차원에서 불법 리베이트가 진행된 증거라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중외제약 최고 경영진이 연루됐다는 의혹의 윤곽이 드러나고 있지만, 중외제약 측은 당시 결재는 회장이 직접한 것이 아니라고 반박했습니다.

손으로 한 회장의 서명이 결재란에 있었지만 회장이 아니라 부하 직원이 전결한 것이는 입장.

중외제약 측은 회장은 그룹 차원의 큰 의사 결정만 한다고 밝혔습니다.

MBC뉴스 김수근입니다.

(영상취재 이준하 / 영상편집 김현국)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