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 뉴스] 포털 부동산 매물 '전쟁'

  • 4년 전
[그래픽 뉴스] 포털 부동산 매물 '전쟁'

공정거래위원회가 네이버 부동산 서비스의 독과점 남용 문제에 대해 제재에 나섰습니다.

네이버가 자사와 계약한 부동산정보업체들에게 후발주자인 카카오에 매물정보를 제공하는 걸 막았다면서 시정명령과 함께 10억3,200만원의 과징금을 부과한 건데요.

오늘의 그래픽 뉴스, 포털 부동산 매물 '전쟁'입니다.

집을 구할 때 포털 검색창에서 매매나 전·월세 물건을 찾아본 적 있으시죠.

네이버는 이런 부동산 정보 제공 서비스를 지난 2003년 처음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올라오는 매물이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허위매물 논란이 끊이지 않자 네이버는 2009년 '확인매물 서비스'를 도입합니다.

매물이 진짜인지 아닌지를 확인해서 진짜일 경우 '확인매물'이라고 표시하는 서비스에 나선 겁니다.

'네이버 부동산'에 올라오는 매물 정보는 부동산114, 부동산써브 등 중소부동산정보업체들에게 수집한 정보입니다.

공인중개업소에 매물이 들어오면 공인중개사는 부동산정보업체에 매물을 등록하고 네이버는 검증을 거친 확인매물을 올리는 방식입니다.

네이버는 이 시스템을 통해 부동산 매물정보 시장에서 점유율을 키워왔는데요.

2015년 초, 후발주자인 카카오가 네이버와 거래하는 부동산정보업체들과 제휴를 추진하면서 문제가 시작됐습니다.

네이버는 그해 5월, 제휴 업체들과의 계약서에 '확인 매물 정보는 제3자에게 제공하지 못한다'는 조항을 넣었고 다음 해 5월엔 이 조항을 위반하면 계약을 즉시 해지하는 조항까지 추가했습니다.

시장 진입이 힘들어진 카카오는 2017년 초, 네이버와 제휴 비중이 낮은 부동산114와 다시 제휴를 맺으려다 포기하게 됩니다.

네이버가 '확인매물'뿐 아니라 검증 단계인 '일반매물'까지 3개월간 제3자 제공을 금지하겠다고 업체들에게 통보했기 때문입니다.

이런 식으로 네이버가 부동산정보업체들과 카카오의 제휴를 막은 기간동안 부동산 매물 정보 시장에 올라온 매물 건수입니다.

네이버는 전체 부동산 매물 건수의 40% 이상의 시장점유율로 시장지배적 사업자 지위를 유지할 수 있었는데요.

시장 진입이 어려워진 카카오는 부동산 매물 서비스 제공을 사실상 포기했습니다.

결국 공정위는 이 건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고 지난 6일, 네이버에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10억3,200만원을 부과했습니다.

확인매물 서비스는 네이버의 지식재산권이지만 "매물정보 자체는 네이버가 아닌 부동산 정보업체들의 것"이라는 판단입니다.

네이버는 도입 초기 수십억원에 달하는 비용과 창의적 노력을 들인 지식 재산권이라면서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제3자 제공금지 조항을 넣은 것도 카카오의 '무임 승차'를 막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는 입장인데요.

비용과 노력을 들이지 않는 무임승차를 눈감게 된다면 시장의 혁신 경쟁도 사라질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네이버가 소송에 나서겠다며 법적 대응 의사를 밝힌 만큼 법원의 최종 판단도 주목됩니다.

지금까지 그래픽 뉴스였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