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 뉴스] 공인인증서 사라진다

  • 3년 전
[그래픽 뉴스] 공인인증서 사라진다

온라인 뱅킹 등에 사용되는 공인인증서가 21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집니다.

공인인증서의 독점적 지위를 없애는 등의 내용을 담은 전자서명법 개정안이 오는 10일부터 시행되기 때문입니다.

오늘의 그래픽 뉴스, 입니다.

오는 10일부턴 복잡하고 번거로운 공인인증서를 쓰지 않고 인터넷과 모바일에서 금융거래를 할 수 있게 됩니다.

금융결제원과 코스콤 등 6개 특정 기관이 독점하고 있던 전자서명 시장이 민간에도 개방되면서 앞으로는 온라인 금융거래와 공공기관에서 공인인증서 대신 다양한 민간업체의 전자서명 서비스로 신원을 확인할 수 있게 된 건데요.

이런 공동인증 시대가 오면 계좌번호나 휴대전화 번호만으로도 신원을 확인하는 등 전자 서명에 가입하는 방법이 훨씬 간편해지고 다양해집니다.

공인인증서는 지난 1999년 도입돼 21년 동안 인터넷에서 본인을 증명하는 도구로 쓰였습니다.

하지만 인증서 보관과 갱신 등 사용이 불편하고, 다양한 기기나 해외에서 활용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으면서 지난 5월 이를 폐지하는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습니다.

기존 공인인증서와 개선된 금융인증서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기존 공인인증서의 경우, 범용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연간 4,400원을 내야 했지만, 대부분의 민간인증서는 '무료'입니다.

또 10자리 이상 복잡한 비밀번호 대신 홍채·지문·안면 인식 등 생체 정보 또는 6자리의 간편 비밀번호(PIN), 패턴 등을 이용할 수 있어 간편합니다.

발급, 보관도 안전한 금융결제원의 클라우드에서 하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나 PC와 모바일에서 클라우드에 연결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기존의 공인인증서를 당장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건 아닙니다.

공인인증서가 폐지돼도 기존에 쓰던 인증서는 유효기간까지 쓸 수 있습니다.

만료 후에는 금융인증 서비스 사용을 권고하지만, 공인인증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는 '공동인증서'를 발급해 기존 공인인증서에 익숙한 이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할 예정입니다.

공인인증서 폐지가 이틀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은행권과 핀테크 업계는 얼굴, 패턴, 지문 등을 활용한 다양한 인증수단을 쏟아내며 '공인인증서 없는 시대'의 경쟁을 시작했습니다.

앞으로 더 편리하고 안전한 국민인증서 자리를 선점하기 위한 치열한 각축전이 예상됩니다.

지금까지 그래픽 뉴스였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