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뭉치면 산다”는 한동훈…당내 결속·지지층 결집 호소

  • 지난달


■ 방송 : 채널A 뉴스A 라이브 (12시~13시 20분)
■ 방송일 : 2024년 4월 3일 (수요일)
■ 진행 : 이용환 앵커
■ 출연 : 강전애 국민의힘 법률자문위원, 성치훈 민주당 정책위 부의장, 조현삼 변호사, 최수영 정치평론가

[이용환 앵커]
한동훈 비대위원장이 어제 충청 지역 이 중원 지역을 방문했습니다. 일정 많았어요. 12개 일정을 소화를 했습니다. 그런데 일정을 소화하는 가운데 한동훈 비대위원장이 마이크를 쥐고 무언가 열심히 이야기하고 있을 때 누군가가 한동훈 비대위원장을 향해서 욕을 했습니다. 제가 그 욕은 방송에서 이야기할 수 없습니다. 그런데 주변에서 욕을 할 때 한동훈 비대위원장은 어떤 반응을 보였을까요? 영상이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확인해 보시죠. 욕설을 던지자 한동훈 비대위원장 한동훈 비대위원장을 향해서 제가 이것을 이야기 못합니다. 욕을 한 거예요. 그러자 한동훈 비대위원장 괜찮아요, 말리지 마세요. 이야기하게 두세요. 그냥 두십시오. 경찰관님 입 막지 마시고 그냥 이야기하라고 두세요. 괜찮습니다. 이런 반응을 한동훈 비대위원장이 보였습니다.

그런데 한동훈 비대위원장이 어제 충청 중원 지역 캐스팅 보드 지역을 12개 일정을 소화하면서 유독 많이 했던 이야기가 있습니다. 무엇인지 아십니까? 이것입니다. 흩어지면 죽고 뭉치면 우리는 살아나서 이길 겁니다. 들어보시죠.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습니다. 저 이야기를 어제 유독 한동훈 비대위원장이 많이 했습니다. 그런데 오늘 한동훈 비대위원장이 일정이 이러한데. 이동 거리가 꽤 많을 듯해요. 왜냐하면 지금 보시는 바와 같이 오늘 어제 충청 지역을 방문했는데 오늘도 오전에 충청도 지역을 방문합니다. 충북 충주 찍고 제천 찍고 강원도로 가네요. 원주 찍고 춘천 찍고 다시 경기도로 와서 포천, 동두천, 파주, 고양까지. 최수영 평론가님, 어떻습니까? 오늘의 일정은 저러한 것이고 오늘도 어제에 이어서 강행군 일정인 것이고. 흩어지면 죽고 뭉치면 산다. 이야기를 유독 강조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최수영 정치평론가]
최근에 사실 몇몇 후보들이 수도권에 위기론이 부각되다 보니까 대통령의 탈당을 요구하거나 혹은 대통령실이 무언가 책임을 져야 하지 않나, 하는 식의 이야기를 하는데. 저는 그렇게 봅니다. 사실 그러면 대통령이 만약 탈당한다, 여당의 지위를 상실하는 것 아닙니까? 여당의 지위를 상실하면 지금 한동훈 위원장이 이야기하는 원팀 정신과 그다음에 수많은 공약들이 여당이 아닌데 어떻게 힘 있게 추진하겠습니까? 저는 이렇게 생각하는 거죠. 상황에 따라서 그런 문제를 제기할 수는 있어요. 왜냐하면 선거라는 것이 단시간에 아주 역동적인 에너지가 뿜어 나오는 그런 공간과 시간이기 때문에 그럴 수는 있으나, 한동훈 위원장이 지금 말하자면 원톱 선대위원장 아닙니까. 한동훈 위원장의 말이 곧 국민의힘의 입장이 되는 것이고 선대위의 입장이 되는 것이고. 그다음에 그것이 국민의힘의 방향성이 되는 것인데.

이것이 사분오열 되면 보수층이 말하자면 보수층이라는 데는 자긍심을 먹고살아요. 어떤 우리가 이 땅의 보수의 원류를 지켜왔다, 이런 것이 있는데. 대통령 나가고 우리는 우리대로 가겠다. 그것은 굉장히 말하자면 느슨한 지지층한테는 실망을 줄 수가 있는 거예요. 그런 측면에서 한동훈 위원장이 빨리 진화했다. 그래서 우리는 원팀이고 운명공동체니까 어떤 식으로든 정치적 책임을 져야 하고. 그 책임은 현재 국민의힘 간판인 내가 지겠다. 그러니까 더 이상 우리가 누구를 말하자면 지적하거나 책임을 돌리거나 하지 말고 남은 7일 동안 우리가 일사불란하게 선거는 기세 싸움입니다. 기세에서 밀리면 밀리는 것이거든요. 그런 측면에서 한동훈 위원장이 그런 측면을 강조하기 위해서 빨리 사태를 전환하고 그다음에 메시지를 단일화 시켰다. 저는 그렇게 생각합니다.

--------------------------------------------
* 위 텍스트는 실제 토크 내용의 일부분입니다. 전체 토크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정리=김지현 인턴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