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전공의 831명 업무개시명령…미복귀시 면허정지

  • 2개월 전
정부, 전공의 831명 업무개시명령…미복귀시 면허정지

[앵커]

전국 수련병원 소속 전공의 55%가 사직서를 제출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정부는 어제 현장점검 결과를 토대로 출근하지 않은 전공의들에게는 업무개시명령을 발령했는데요.

보도국 연결해 자세한 내용 들어보겠습니다.

김동욱 기자.

[기자]

네, 보건복지부는 어제(19일) 오후 11시 기준 주요 100개 수련병원을 점검한 결과, 이들 병원의 소속 전공의 55% 수준인 6,415명이 사직서를 제출했다고 밝혔습니다.

각 병원은 이들이 낸 사직서를 모두 수리하지는 않았지만, 사직서 제출자의 25% 수준인 1,630명은 근무지를 이탈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세브란스 병원, 성모병원 등에서 상대적으로 근무지 이탈이 많았고, 나머지는 이탈자가 없거나 소수인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복지부는 설명했습니다.

정부는 어제 현장점검 결과 출근하지 않은 사실이 확인되는 전공의 757명 등 누적 831명에 대해 업무개시명령을 발령했습니다.

전공의들은 오늘 12시 서울 용산 의사협회에서 긴급 임시대의원총회를 열고 향후 대응 방안 등을 논의했습니다.

[앵커]

병원 현장에서는 이미 혼란이 현실화 하는 것 같은데요.

정부의 비상진료대책은 어떻게 이뤄지고 있습니까?

[기자]

네, 전공의들이 병원 현장을 떠나면서 암수술과 출산, 디스크수술 등 긴급한 수술도 취소되거나 연기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어젯밤 자정 기준 '의사 집단행동 피해신고·지원센터'에 총 34건의 집단행동으로 인한 피해사례가 접수됐다고 밝혔습니다.

이중 25건은 수술 취소였으며, 진료예약 취소는 4건, 진료 거절은 3건, 입원 지연은 2건이었습니다.

의사들의 집단행동으로 인해 피해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는 국번없이 129로 전화하면 상담과 법률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정부는 비상진료대책 이행상황도 점검했는데요.

정부는 각 의료기관에서 유연한 인력관리 등을 통해 필수진료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지원을 실시하기로 했습니다.

권역·전문응급의료센터 등의 응급의료 행위와 응급의료 전문의 진료에 대한 보상을 강화하고, '입원환자 비상진료 정책지원금'을 신설했습니다.

또 권역외상센터 인력·시설·장비를응급실의 비외상진료에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입원전담전문의 업무 범위를 한시적으로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지금까지 보도국에서 전해드렸습니다. (dk1@yna.co.kr)

#의사 #전공의 #복지부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