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비대위' 구성키로…민주, 선거제 격론

  • 5개월 전
국민의힘, '비대위' 구성키로…민주, 선거제 격론

[앵커]

국민의힘 김기현 전 대표가 어제(13일) 전격 사퇴했습니다.

집권여당이 당대표 부재 속에 혼돈에 빠진 모습인데요.

일단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려 내부 전열 정비와 총선 준비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자세한 소식, 국회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해 들어보겠습니다.

이다현 기자.

[기자]

네, 오늘 오전 중진연석회의와 최고위원회의를 거친 결과, 국민의힘은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하기로 했습니다.

총선을 불과 4개월 앞둔 시점이라 새로운 당대표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를 열 여건이 아니라고 판단한 건데요.

국민의힘 윤재옥 원내대표 겸 당대표 권한대행은 하루빨리 비대위원장을 선임하겠다며, '국민 눈높이와 총선 승리를 달성할 실력을 기준으로 내세웠습니다.

공동비대위원장을 고려하냐는 질문에는, 한 명이 위원장을 맡는 것이 조직 운영에 효율적이라고 생각한다는 뜻을 내비쳤습니다.

당 안팎에선 차기 비대위원장으로,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과 한동훈 법무부 장관, 원희룡 국토부 장관과 인요한 전 혁신위원장, 김병준 사회복지공동모금회 회장과 나경원 전 의원 등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저런 분이 우리 당의 간판으로 선거를 치르면 좋겠다, 이런 상징적인 분이 좋겠죠. 지금 거명되는 분 외에도 더 좋은 분이 있을 수도 있지 않습니까. 다양한 경로로 제가 의견 수렴을 하겠습니다."

한편 국민의힘은 비대위뿐만 아니라 공천관리위원회와 선거대책위원회를 구성해야 하는 과제도 안고 있습니다.

당초 내주 초까지 공천관리위원회를 출범시키려던 목표는 김기현 전 대표의 사퇴로 어려워졌지만, 윤재옥 권한대행은 당헌당규 규정대로 내년 1월 10일까지는 공관위를 꾸리겠다고 밝혔습니다.

총선이 4개월 앞으로 다가온 만큼, 당대표 사퇴의 후폭풍을 하루빨리 수습하기 위한 국민의힘이 고민이 깊어질 전망입니다.

[앵커]

여당 지도부가 공백 상태가 된 상황에 상대 당인 더불어민주당도 주시하고 있을 텐데요.

민주당도 내부 문제로 시끌시끌하다고요?

[기자]

네, 민주당 상황도 복잡합니다.

비명계 의원들의 모임인 '원칙과상식'은 이재명 대표가 2선 후퇴해야 한다며 당 지도부를 통합 비대위로 전환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또 당대표와 지도부, 586 중진들이 기득권을 내려놓는 선당후사를 해야 한다면서, 당대표가 이 물길을 열어야 한다고도 강조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이낙연 전 민주당 대표가 내년 초 신당 창당을 기정사실화한 것을 두고 당내 논란이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이 전 대표는 연일 이재명 대표 체제를 비판하고 있지만, 주류 측에서는 이낙연 신당이 야권 분열을 촉발해 총선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날을 세우고 있습니다.

이재명 대표는 이 전 대표의 신당 추진 등과 관련해 "변화하되 최대한 단합과 단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고 단합을 강조했습니다.

한편 민주당은 오늘 오전 의원총회를 열고 선거제 개편안을 논의했는데요.

연동형이냐, 병립형이냐가 여전히 문제인데, 오늘도 답을 내리지는 못했습니다.

병립형으로 돌아가 원내 1당을 유지하는 전략을 세워야 한다는 현실론이 당내에서 세를 얻는 분위기지만, 전날 민주당 이탄희 의원이 선거제 개혁을 촉구하며 불출마를 선언하는 등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주장하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습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전해드렸습니다. (ok@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