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인권 문제는 안보 문제"…안보리 의제화 추진

  • 9개월 전
"북한 인권 문제는 안보 문제"…안보리 의제화 추진

[앵커]

국제사회에서 북한의 인권 문제는 해묵은 과제였습니다.

한미일 3국을 중심으로 북한 인권 문제를 유엔 안보리의 공식 의제로 삼는 방안이 추진 중인데, 결과물을 내기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아 보입니다.

김예린 기자입니다.

[기자]

황준국 유엔 주재 대사는 국제사회가 북한의 실상을 직시할 수 있도록 북한 인권 문제의 유엔 안보리 공식 의제화를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북한 인권 문제는 동시에 안보 문제"라고 강조했습니다.

북핵 문제를 북한 인권 문제와 분리해 생각할 수 없다는 것으로, 강제노동에 시달리며 북한 노동자들이 번 소득의 90%가량을 북한 정권이 강탈한 뒤 이를 핵과 미사일 개발에 쓰고 있다고 부연했습니다.

한미일 3국은 앞서 북한 인권 문제 논의를 위한 안보리 회의를 오는 17일에 개최할 것을 공식 요청했습니다.

"안보리는 북한 김정은 정권이 북한 주민과 일본, 한국을 포함한 다른 유엔 회원국 시민을 상대로 매일 자행하는 인권 탄압과 범죄에 대한 공포를 해결해야 할 것입니다"

황 대사는 회의가 열린다 해도 "중국과 러시아의 반대로 결과물을 내긴 어려울 것"이라면서도 "지금 상황에선 북한 인권 개선을 위해 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방법"이라고 말했습니다.

중국은 이미 북한인권 회의 개최 요청과 관련해 반대 의사를 표명했습니다.

중국 유엔대표부 대변인은 "안보리의 의무는 인권이 아닌 국제 평화와 안보의 유지"라며 북한인권회의에 대한 거부감을 분명히 했습니다.

러시아 역시 반대 입장을 표명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15개 안보리 이사국이 참여하는 절차 투표를 통해 9개국 이상이 찬성하면 회의 개최가 가능합니다.

로이터통신은 한미일 측이 추진에 필요한 9개의 투표권을 이미 확보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해, 2017년 12월 이후 6년 만에 북한 인권 회의가 개최될 것으로 보입니다.

연합뉴스TV 김예린입니다.

#유엔_안보리 #북한_인권 #한미일 #중국_러시아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