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조선소 빈자리 채운 원두향…‘커피섬’이 된 영도

  • 2년 전
지난 10일 부산 중구 남포동과 영도구 대교동을 잇는 영도대교(214.7m). 차를 타고 영도로 들어가며 오른쪽을 보니 큰 선박 몇 척이 항구에 정박해 있었다. 1912년 목선 등을 제조하는 한국 최초의 근대식 조선소인 다나카 조선소가 있던 ‘깡깡이 마을’(대평동)이다. 조선소에서 배를 수리할 때 망치로 때리는 소리가 마을 별칭이 됐다. 배에 그네 같은 줄을 매달고 앉아 망치로 녹을 제거하는 작업을 하던 아지매(아줌마)를 ‘깡깡이 아지매’라 불렀는데 ‘자갈치·재첩국’과 함께 ‘부산의 3대 아지매’로 불린다.
 
이곳에서 차로 10여분 거리에 있는 봉래동은 1937년 한국 최초의 독(Dock·배를 만드는 작업장)이 있는 조선중공업주식회사(광복 후 대한조선공사→1990년 한진중공업)가 있던 곳이다. 사실상 영도는 대한민국 조선 산업 발상지이면서 1960~70년대 초반까지 대표적 조선산업 기지였다. 김명신 영도구 재생정책팀장은 “1911년 발행된 ‘부산시가전도’를 보면 당시 대평동과 봉래동에 영도와 부산 내륙을 잇는 ‘도선장’이 있었던 것으로 나온다”며 “드라마 ‘파친코’에 등장하는 영도 도선장이 이곳을 모티브로 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후 영도는 이런 대형조선소와 수리조선소 등 각종 공장이 해안가를 따라 들어섰고, 이를 중심으로 배후 지역에 상업시설과 주거지 등도 조성됐다. 하지만 1970년대 중반 이후 사양길로 접어들면서 인구도 급격히 줄었다. 1978년 21만 4000여명이었던 인구는 올해 6월 말 11만 1307명까지 줄었다. 사람들이 빠져나가면서 해안가 창고형 공장도 하나둘 문을 닫았고, 곳곳에 빈집이 생겨났다.
 
이런 가운데 최근 창고형 공장과 빈집 등을 활용한 수백개의 카페...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98003?cloc=dailymotion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