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장 사표·반려' 긴박한 하루…文면담·고검장 회의

  • 2년 전
'총장 사표·반려' 긴박한 하루…文면담·고검장 회의

[앵커]

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 이른바 '검수완박' 법안이 발의되자 검찰총장이 사직서를 던지는 등 검찰 내 반발이 거셉니다.

급박한 상황 속에 문재인 대통령은 사표를 반려한 뒤 김오수 총장을 면담했고 고검장들은 대응책을 논의했습니다.

신현정 기자입니다.

[기자]

검찰 수장이 사퇴 의사를 밝힌 다음 날, 전국 고등검찰청 검사장 6명이 대검찰청에 모였습니다.

여당이 강행한 '검수완박' 법안 발의에 따른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섭니다.

지난 8일 첫 회의 이후 열흘 만입니다.

고검장들은 법안이 위헌이라며, 통과되면 국민이 피해를 입는다고 비판했습니다.

"경찰 수사를 믿지 못해서 검찰청에 찾아왔는데 사건을 다시 경찰서에서 조사받으라고 한다면 이에 승복할 국민이 몇 분이나 되시겠습니까. 냉정한 이성을 되찾기를 기원합니다."

법안이 단순히 검찰청법과 형사소송법상 '검사'라는 표현을 '사법경찰관'으로 바꾼 것 아니냐는 비판도 제기됐습니다.

"발의된 법안은 오랫동안 우리 사회를 지탱해온 형사사법시스템과 그 안에 있는 사람들, 사법경찰, 검찰 수사관, 검사의 존재 이유와 역할에 대한 고민과 성찰이 빠져있습니다."

오전 9시 반에 시작된 회의는 점심시간을 포함해 6시간가량 '마라톤 회의'로 진행됐습니다.

박성진 대검 차장이 주재한 회의에선 긴박감 속에 법안 추진단계별 대응책과 조직 안정 방안, 고위간부들의 거취 등이 논의됐습니다.

연가를 낸 뒤 휴대전화를 끄고 두문불출했던 김오수 검찰총장은 문재인 대통령 면담 일정이 잡힌 뒤 오후에 청사로 출근했습니다.

문 대통령이 사표를 반려한 가운데 면담을 마친 김 총장은 청사를 떠날 때와 달리 취재진에 모습을 드러내 직접 입장을 밝혔습니다.

"소위 검수완박 법안의 여러 가지 문제점에 대해서 상세하고 충분하게 말씀을 드렸고요. 그리고 검찰 수사 공정성, 중립성 확보 방안에 대해서도 말씀을 드렸습니다."

김 총장은 청사에서 기다리던 고검장들과 만나 면담 결과를 전하고 후속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연합뉴스TV 신현정입니다. (hyunspirit@yna.co.kr)

#검수완박 #김오수 #고검장 #문재인대토영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