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란나비로 물든 수요시위 30주년…"변함없이 외칠 것"

  • 2년 전
노란나비로 물든 수요시위 30주년…"변함없이 외칠 것"
[뉴스리뷰]

[앵커]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수요집회'가 오늘(5일)로 꼭 30주년을 맞았습니다.

주최 측인 정의기억연대는 앞으로도 변함없이 집회를 이어가겠다고 다짐했는데, 보수단체의 맞불집회 등 풀어야 할 숙제도 적지 않습니다.

정인용 기자입니다.

[기자]

처음으로 수요시위가 열렸던 그 날의 사진이 당시와 같은 장소인 옛 일본대사관 앞에 전시됐습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 증언 이후 1992년 1월 8일 열렸던 1차 시위를 시작으로 이번 1,525차 시위까지 꼭 30년이 흘렀습니다.

"다시 처음처럼 다시 시작합니다. 우리는 희망입니다."

집회 현장은 피해 할머니들을 상징하는 노란 나비로 물들었습니다.

참석자들은 추운 날씨 속에서도 저마다의 생각으로 수요시위 30주년의 의미를 되새겼습니다.

"앞으로의 30년도 묵묵하고 담담하게 바위처럼 우리의 외침과 요구가 관철되는 순간까지 정의로운 역사를 응원…"

주최 측인 정의기억연대는 용기를 내준 위안부 피해자들과 삶을 헌신하며 시위에 참여해왔던 선배 활동가, 연대해준 세계 시민들에게 감사를 표하며 시위는 계속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가 해결되는 그 날, 그날이 올 때까지 우리는 변함없이 평화로에 서서 외칠 것입니다."

다만 지난 2020년 5월, 정의연의 후원금 횡령과 회계 부정 의혹이 불거지면서 풀어야 할 사회적 과제도 적지 않다는 평가입니다.

또 해당 사안에서 비롯된 보수단체의 '맞불집회'로 이번 30주년 집회도 평화의 소녀상 앞에서 열리진 못했습니다.

정의연은 이들 단체의 인권 침해적 비난이 계속되고 있다며 시위에 앞서 국가인권위에 실태조사와 구제조치를 요청했습니다.

한편,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와 법적 배상을 받지 못한 채 지난해 3명의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이 추가로 별세하면서 정부에 등록된 생존 피해자는 이제 13명에 불과합니다.

연합뉴스TV 정인용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