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파트너십으로 '윈윈'…한국, '글로벌 허브' 될까

  • 3년 전
백신 파트너십으로 '윈윈'…한국, '글로벌 허브' 될까
[뉴스리뷰]

[앵커]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서 양 정상은 세계적 감염병 위기에 대응할 백신 파트너십을 구축하기로 했습니다.

미국의 기술력과 한국의 생산 역량을 결합해 전 세계 백신 공급에 적극 나선다는 건데요.

이를 통해 한국이 글로벌 '백신 허브' 역할을 맡게 될지 주목됩니다.

성승환 기자입니다.

[기자]

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첫번째 정상회담, 백신 협력의 핵심은 미국의 기술력과 우리 생산 역량 결합이었습니다.

미국이 선진 기술로 개발한 백신을 우리가 대량 생산해 전 세계에 공급하는 '글로벌 백신 허브'가 되는 셈입니다.

"특히 인도-태평양 지역의 백신 공급에 더 많은 기여를 하게 되리라고 생각합니다. 그 과정에서 우리 한국도 백신의 안정적인 확보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올 하반기부터 내년까지 십억 회분에 달하는 백신을 추가 생산할 수 있을 것입니다. 문 대통령도 미국이나 한국만이 아니라 인도-태평양과 전 세계 공급을 얘기하고 있다는 점이 좋았습니다."

대표적인 한미 간 협력 방안으로는 과학자,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고위급 전문가 그룹 발족이 꼽힙니다.

이를 통해 생산 능력을 확대하고 원재료 공급 부족을 해소하고 백신 생산 관련 기술 협력을 추진합니다.

미국에 백신을 꿔오는 스와프 방식이 점쳐졌지만, 바이든 대통령이 한국군 전원에 백신을 공급하기로 한 점 역시 주요 성과입니다.

문 대통령은 백신 파트너십에 이은 백신 직접 지원 발표는 그야말로 깜짝 선물이었다고 표현했습니다.

특히 미국 내 반대가 적지 않았지만,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특별히 중시한 결정이었다고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여기에 문 대통령 방미 마지막 날 성사된 한미 바이오 기업 간 백신 기술 이전과 공동 연구개발.

한국이 글로벌 백신 허브로의 첫발을 떼며 한미 정상회담의 성과가 속도감 있게 구체화 되고 있다는 평가입니다.

연합뉴스TV 성승환입니다. (ssh82@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