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맛에 맞는 통계만”…“통계치 적절성 의문”

  • 6년 전


청와대가 발표한 통계를 놓고,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는 경제 전문가가 적지 않습니다.

어떤 부분이 문제로 지적되는지, 김현지 기자가 들어봤습니다.

[리포트]
우리나라 전체 가구 가운데 근로자 가구와 근로자 외 가구의 비율은 59대 41 정도.

이번에 청와대는 개인 기준으로 근로소득을 분석했습니다.

자영업자와 무직자 등으로 주로 구성되는 근로자 외 가구는 분석대상에서 사실상 빠진 것입니다.

전화[주원 /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
“최저임금 영향으로 분명히 실직한 분들도 계신데 그 분들을 빼고 임금 근로자만 최저임금 효과를 분석하면 당연히 임금은 상승하는 것이고요.“

또 물가 상승을 고려한 실질 소득이 아니라 명목 소득만 분석한 점도 한계로 꼽혔습니다.

[김상봉 /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
“근로 소득자는 실질임금으로 따지면 2분위(까지) 근로자 소득자 외까지 합치면 4분위까지 안 좋다는 거예요.”

청와대 말대로 근로자 가구의 소득이 늘었다고 하더라도 소득주도 성장 기틀이 잡혔다고 보기 어렵다는 분석도 나왔습니다.

올해 1분기 하위 20% 근로자 가구에선 소득이 만 원 정도 늘었지만 세금 이자 등은 5만 원 가까이 늘었습니다.

근로소득이 늘었다지만, 마음대로 쓰지못하고 사라지는 돈이 더 많아졌다는 소리입니다.

변조,블러[서울 영등포구 시민]
“대출이자는 많이 받고 팍팍하지 가계 살림들이. 집 살 때 융자 얻은 사람들이 팍팍하지.”

소득주도 성장을 하기 위해선 근로 소득을 늘리는 것 뿐 아니라 취약계층 가계부채 문제 해결 등에 더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는 지적입니다.

채널A뉴스 김현지입니다.

김현지 기자 nuk@donga.com
박수유 기자 aporia@donga.com
영상취재: 이준희
영상편집: 이승근
그래픽 : 윤승희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