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산업구조 전환"…경북형 데이터 클라우드센터 첫 삽

  • 7개월 전
"디지털 산업구조 전환"…경북형 데이터 클라우드센터 첫 삽
[생생 네트워크]

[앵커]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으로 데이터 산업 분야 경쟁이 치열합니다.

지역 산업 전환을 계획하고 있는 경북도가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건립을 위한 첫 삽을 떴는데요.

정부의 데이터 지방분산 정책의 첫 사례로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정지훈 기자입니다.

[기자]

"하나, 둘, 셋!"

경북도가 경북형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건설을 위한 첫 삽을 떴습니다.

데이터센터는 클라우드 기반의 서버와 네트워크, 운용설비 등 고성능 정보 저장·처리 기반 시설을 갖춘 데이터 통합관리 시설입니다.

연면적 9,800여 ㎡ 규모로 지자체 등 공공기관 통합업무 시스템과 지역 주요 민간기업을 고객으로 유치할 계획입니다.

"데이터센터는 경북형으로 발전시켜서 공공과 민간을 합쳐 모아서 이것이 바로 산업에 반영이 되도록 그렇게 하겠습니다."

데이터센터 유치로 지역 미래 먹거리 산업 변화에 대한 기대도 큽니다.

"데이터센터가 들어옴으로 인해 우리 예천 지역 산업의 생태계가 바뀔 것이다. 지식첨단산업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그 첫 단추를 끼우는…"

오는 2025년 경북형 클라우드 데이터센터가 완성되면, 디지털 전환을 통한 산업구조 혁신에 속도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클라우드는 정보를 인터넷과 연결된 중앙 컴퓨터에 저장한 뒤 온라인으로 이를 끌어다 쓰는 기술입니다.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곳이라면 언제, 어디서든 자료를 불러올 수 있고, 문서와 동영상, 사진 등 형태를 가리지 않고, 많은 양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인공지능(AI) 기술 발전 속도가 빨라지면서 데이터양도 크게 늘어, 데이터센터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데이터센터가 수도권에 집중되면서 전력량 공급 등 문제가 생기자 정부는 데이터센터의 지방분산 정책을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지역에 6메가와트급으로 데이터센터를 짓는 것은 저희가 최초입니다. 이 데이터센터의 투자 규모는 한 1100억~1200억 정도 할 예정이고요."

경북도는 예천뿐만 아니라 포항 블루밸리 산업단지에도 글로벌 데이터센터 조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곳엔 일본과 연결되는 330㎞ 길이의 해저 케이블과 지상 통신망을 연결하는 기지국을 구축할 계획입니다.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데이터 기업 유치가 목표입니다.

연합뉴스TV 정지훈입니다. (daegurain@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