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감사 곳곳 충돌…여야 필수의료 해법 '시각차'

  • 7개월 전
국정감사 곳곳 충돌…여야 필수의료 해법 '시각차'

[앵커]

국회에서는 기재위 등 10개 상임위에서 국정감사가 열렸습니다.

곳곳에서 여야가 치열한 공방을 이어가고 있는데요.

주요 쟁점은 뭔지,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정다예 기자.

[기자]

네, 먼저 기재위 상황 보겠습니다.

기획재정부 대상 국감에서 여야는 어려운 경제상황과 역대 최대 세수 결손을 두고 공방을 벌였습니다.

야당은 '부자감세'를 주요 원인으로 꼽으며 "경제가 파탄 지경"이라고 주장했고, 여당은 "예산집행에 큰 어려움은 없을 것"이라며 맞섰습니다.

오전 여야 지도부 회의에서도 관련 공방이 오갔는데요.

한 번 보시죠.

"민주당이 근거 없는 국가 부도 위기 주장을 꺼낸 건 내년 총선을 앞두고 정부 정책에 실패 프레임을 씌우고 국민 불안 부추기기 위한 목적…"

"우리 경제가 제2의 IMF를 맞이할 수 있다는 상상조차 하기 싫은 전망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윤석열 정부는 현실을 똑바로 인식해야 합니다."

법사위에는 '부산 돌려차기' 사건 피해자가 참고인으로 출석했습니다.

비공개로 출석한 피해자는 이 자리에서 1심 법원이 반성문 제출을 형량 감경 사유로 인정한 점 등을 문제 삼았습니다.

산자위에서는 공영 홈쇼핑 감사의 '이재명 특보' 이력의 적절성을 두고 여야가 공방을 벌이다 한때 회의가 파행했습니다.

[앵커]

의대 정원 확대 관련 정치권 소식도 알아보죠.

의료 인력 확충을 골자로 하는 정부 혁신안을 두고 여야가 다른 반응을 보이고 있죠.

[기자]

네, 정부 발표를 두고 국민의힘은 "어디서나 고른 수준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강력한 의지가 반영된 것"이라 평가했습니다.

그러면서 '지역 필수의료 혁신 TF'를 발족해 정부 방침에 힘을 싣기로 했습니다.

정책위의장이 위원장을 맡고 관련 상임위 여당 간사들, 또 의료계와 일반 시민까지 참여합니다.

반면 민주당은 정부 발표는 '지역, 필수, 전략 어느 것 하나 들어있지 않은 빈수레'라고 비판했습니다.

의대 정원 확대의 구체적인 규모는 물론 제대로 된 로드맵조차 제시하지 못했다며, "국민 건강을 담보로 국면 전환용으로만 문제에 접근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민주당은 공공의대와 지역의사 제도 도입을 의대 증원의 조건으로 내걸고 있는데요.

국민의힘은 여기 동의하지 않는다는 입장이어서 합의점을 찾기까지 험로가 예상됩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전해드렸습니다. (yeye@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