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사 독립영웅 흉상 이전 추진…광복회 "분노 금할 수 없어"

  • 9개월 전
육사 독립영웅 흉상 이전 추진…광복회 "분노 금할 수 없어"
[뉴스리뷰]

[앵커]

육군사관학교가 교내에 있는 독립 운동가들의 흉상 이전을 추진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봉오동 전투를 이끈 홍범도 장군의 공산주의 활동이력을 문제 삼은 건데요.

한상용 기자입니다.

[기자]

육군사관학교 내 생도 교육시설인 충무관 앞에 있는 '독립전쟁 영웅' 5인의 흉상들.

김좌진, 이범석, 지청천, 홍범도 장군과 이회영 선생으로, 2018년 독립운동 정신을 기리는 취지로 세워졌습니다.

하지만 육사가 이 흉상들을 외부로 이전하려 한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독립운동 단체 등이 반발했습니다.

"국군의 역사적 정통성을 부정하고 헌법 정신을 훼손하는 반헌법적 처사이며 이는 도저히 용납할 수 없고 용납해서도 안 되는 일입니다."

광복회도 성명을 내고 "민족정기를 들어내려는 시도에 다름 아니다"라며 "독립유공자와 후손들은 분노를 금할 수 없다"고 비판했습니다.

이에 국방부는 '자유민주주를 수호하는 장교 육성'이라는 육사의 정체성 등을 고려한 정비방안이 검토, 추진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홍범도 장군의 과거 활동이 이전 배경이 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국방부는 "소련공산당 가입과 활동이력 등 논란이 있는 분을 생도교육의 상징적 건물 앞에 기념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평가도 내놨습니다.

그러면서 국난 극복의 역사가 특정 시기에 국한돼선 안 된다며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하는 정예 강군을 육성하도록 정신전력 교육을 강화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 역시 장병들의 역사인식 재정립을 당부한 바 있습니다.

"자유민주주의를 위협하는 반국가적 주장과 왜곡된 역사관을 바로잡고 장병들이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정신전력 극대화에도…"

국방부는 "독립군과 광복군의 역사를 국군의 뿌리에서 배제하는 것은 결코 아니"라고 강조했지만, 흉상 이전을 둘러싼 논란은 당분간 지속할 전망입니다.

연합뉴스TV 한상용입니다.

#육사 #흉상 #독립운동 #공산주의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