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관계 뇌관 '오염수 방류'…정상회담서 '양자검증' 해법 찾을까

  • 작년
한일관계 뇌관 '오염수 방류'…정상회담서 '양자검증' 해법 찾을까
[뉴스리뷰]

[앵커]

이틀 앞으로 다가온 한일 정상회담 논의 테이블에 오를 수 있는 주요 의제가 여전히 관심인데요.

그중 하나가 바로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입니다.

한일 정상이 징용 문제와 함께 한일관계의 갈등 요인으로 지목된 이 사안에 대해 진전된 결과물을 내놓을지 주목됩니다.

한상용 기자입니다.

[기자]

일본 정부는 올해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를 방류하겠다는 입장을 여러 차례 밝혀 왔습니다.

최대 관심은 오염수에 대한 신뢰성 있는 검증과 방류 시점에 쏠려 있었는데, 이번 한일 정상회담에서 후쿠시마 오염수 관련 내용이 논의될 가능성이 상당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르면 올여름 예상되는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방류는 사실 국내 대일 여론과 직결된 대형 '뇌관'으로 꼽힙니다.

또 다른 뇌관 징용 배상 문제는 윤석열 정부가 '제3자 변제안'을 제시하고 선제적 해결에 나섰지만 오염수 문제는 양국이 지금까지 뚜렷한 합의점을 찾지 못했습니다.

지난 3월 도쿄 한일 정상회담 때도 휘발성 강한 이 안건을 두고 두 정상의 공개적 발언은 없었습니다.

이 때문에 이번 한일 정상회담 계기 논의 자체를 넘어서 모종의 해법이 도출될지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외교가에선 그 방안 가운데 하나로 '양자 검증'안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습니다.

국제전문가들 참여 아래 진행 중인 국제원자력기구 IAEA 모니터링과 별도로 한일이 독자 검증에 나서는 방안입니다.

일본과 인접한 우리 정부로선 국민 건강과 직결된 사안이라 더욱 신경을 쓸 수 밖에 없고, 일본 역시 문제가 발생한 당사국인만큼 적극적인 조치에 나설 필요성이 제기됩니다.

다만, 대통령실이 후쿠시마산 수산물 수입 금지 조치를 유지한다는 방침을 최근까지도 밝혔던 만큼, 수산물 문제는 이번에 논의되지 않을 가능성이 큽니다.

이와 관련해 외교부 당국자는 "일본 측에 오염수 배출 관련 정보를 요청하고 자료를 받아 계속 검토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과학적, 기술적 측면에서 일본과 지속적 협의를 통해 계속 분석해 나갈 것"이라 말했습니다.

연합뉴스TV 한상용입니다.

#한일관계 #한일정상회담 #후쿠시마_오염수방류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