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펀치] 윤 대통령-기시다 총리, 정상회담…여야, 상반된 평가

  • 작년
[여의도펀치] 윤 대통령-기시다 총리, 정상회담…여야, 상반된 평가


여야 의원들의 뜨거운 정치토론 , 오늘은 국민의힘 양금희 의원, 더불어민주당 강선우 의원과 함께합니다.

어서 오세요.

잠시 후부터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의 정상회담이 열립니다. 이번 한일 정상회담의 의미, 어떻게 보십니까?

이번 한일 정상회담의 최대 관심사 중 하나는 강제징용 배상 등 과거사 문제에 대해 어떤 성과가 나올지입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한일 정상회담을 앞두고 일본 언론에 "강제징용 문제 해결은 한국 정부가 국민을 위해 대국적 차원에서 내린 결단"이라 강조했는데,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우리나라의 '결단'에 일본이 어느 정도 '호응'할 것이냐, 관심이 모이는데요. 우리 정부가 앞서 강제징용 배상 해법 발표 당시 "물컵에 물이 절반 이상 찼다"며 "일본의 '성의 있는 호응'에 따라 더 채워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하지 않았습니까? 일본이 물컵의 나머지 절반을 채울 거라고 보십니까?

한일 정상회담 후 공동선언은 없고요, 공동 기자회견만 하는데요.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진전된 언급을 할까요?

정부가 내놓은 강제징용 배상 해법은, 일본 전범 기업은 빠지고 한국 정부 산하 재단이 한국 기업들로부터 받은 기부금으로 배상한다는 게 핵심이죠. 이 '제3자 변제' 방식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강선우 의원님, 국민의힘 등에서는 "과거가 우리 미래를 발목 잡으면 안 된다"고 주장하는데요?

양금희 의원님, 민주당은 굴욕적인 강제징용 해법을 철회하라면서, '대일 4대 요구'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일본이 수출규제를 해제하기 전까지 지소미아 정상화를 유예하고,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배출계획 철회 등을 요구해야 한다는 건데요?

양금덕 할머니 등 강제징용 피해자들이 정부의 '제3자 변제안'에 거부 의사를 밝혔고, 미쓰비시중공업의 한국 내 자산을 추심하겠다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국민 절반 이상도 정부안에 '반대'한다는 입장이고요. 피해자들과 국민들의 반발 여론에 대한 대책도 필요해 보이는데요?

어제 김기현 대표와 이재명 대표가 첫 만남을 갖고, '민생'을 한목소리로 강조했습니다. 어제 만남, 어떻게 보셨습니까?

김기현 대표는 이재명 대표에게 비쟁점 법안의 신속한 처리를 요청하면서 격주 만남을 제안했고요, 이 대표는 대선 공통 공약 추진단과 범국가 비상경제회의 구성 등을 제안했는데요. 여야 대화 채널을 복구하고, 협치에 물꼬를 틀 수 있을까요?

그런데, 당장 민생과 직결되는 '주 69시간 근로제' 개편안부터 여야가 입장차를 보이고 있어요. 민주당은 재검토가 아닌 '즉각 폐기'를 주장했고,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는 '개편안 수정'에 무게를 뒀습니다. 양당의 입장 들어보겠습니다.

여야는 3월 임시국회 일정도 합의하지 못했습니다. 오늘도 원내수석부대표가 조율에 나섰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했는데요. 이유가 뭔가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