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성 검증·규제 늦어지는 사이…전자담배 시장 급성장

  • 2년 전
유해성 검증·규제 늦어지는 사이…전자담배 시장 급성장

[앵커]

정부가 액상형 전자담배 일부 성분에서 독성이 확인됐다고 밝히면서 담배 관리 강화 여론이 비등한 게 2년 전입니다.

하지만 관련 입법과 규제는 여전히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데요.

그 사이 전자담배 신제품 출시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한지이 기자입니다.

[기자]

담배의 유해 성분 평가·공개 입법은 윤석열 정부의 국정과제에 포함돼있습니다.

전자담배 역시 여기 포함되는데, 정부는 전자담배 판촉활동 제한과 규제 강화를 담은 입법에 속도를 내겠다는 입장입니다.

"건강증진법 내에서 담배 판촉을 제한하는 것으로 계속 갈 거예요. 이번에 정부안도 냈고요. 사각지대를 없애고 곧 있으면 담배 성분에 대한 관련 법률이 또 국정과제에 포함됐기 때문에 국회에서 논의가 될 것입니다."

하지만 검증과 규제입법이 지연되는 사이 국내 궐련형 전자담배 시장은 빠르게 커지고 있습니다.

2017년 2.2% 선이던 시장점유율은 올해 상반기 14.5%로 확대됐고, 같은 기간 시장 규모는 3,000억원 대에서 2025년 2조5,000억원에 늘어날 전망입니다.

그러자 담배회사들은 신제품 출시에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이들은 전자담배가 연초 담배 대비 유해 물질 배출이 평균 약 95% 감소한다는 자체 연구 결과를 내세웁니다.

한 마디로 덜 해롭다는 주장입니다.

"일반 담배 흡연의 대안으로써 자리매김을 하긴 했지만 훨씬 더 공중 보건을 위해서는 이러한 부분들이 확대 되어야 하지 않을까…"

물론, 보건전문가들은 담배업체 주장을 강하게 반박합니다.

"일부 몇 개의 성분, 독성물질에 대해서 기존 궐련 대비해서 이만큼 줄었다고 홍보하는 건 전형적으로 국민들을 오해하도록, 오도하고 있는 마케팅 전략일 뿐인 것이죠."

전자담배의 유해성에 대한 정부 차원의 검증과 이에 기반한 정책이 시급한 이유입니다.

연합뉴스TV 한지이입니다. (hanji@yna.co.kr)

#전자담배 #유해성 #담배입법 #건강증진법 #판촉홍보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