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년 뒤 인구 절반"…노인 연령 상향론 '솔솔'

  • 2년 전
"50년 뒤 인구 절반"…노인 연령 상향론 '솔솔'
[뉴스리뷰]

[앵커]

경로우대 기준 나이를 올리는 현상이 최근 민간 부문에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고령화가 심각해지고 젊게 사는 어르신들도 늘고 있기 때문인데요.

눈덩이처럼 늘어날 복지 부담을 고려해 공공부문도 상향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김동욱 기자입니다.

[기자]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늙어가는 나라 중 하나인 대한민국.

통계청 추계대로면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의 비중은 올해 17.5%에서 2070년 46.4%까지 급증합니다.

빠르게 늘어나는 노인 인구에 민간에선 이미 노인 연령 상향 조정이 시작됐습니다.

문화재 관람료와 입장료의 경로 우대 기준 연령을 65세에서 70세로 올린 대한불교조계종과 춘천 남이섬이 대표적입니다.

그러자 이를 기초연금, 지하철 무료 승차 등 공공으로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지난 6월 여론조사에선 노인 연령을 65세에서 70세로 상향하는 방안에 찬성하는 비율이 62%로 반대의 거의 두 배였습니다.

"아무래도 어르신들이 되게 젊게 사시는 것 같기도 하고 건강하신 것 같아서 65세는 너무 낮은 연령대라고 생각합니다."

국책연구기관 한국개발연구원은 노인복지 비용 부담 완화를 위해 노인 연령 기준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며 2025년 66세로 올린 뒤, 10년 단위로 1세씩 상향 조정하는 방안을 제시했습니다.

"2025년 이후부터는 본격적으로 우리나라가 인구 부담이 증가하고 곧 세계 최고의 인구 부담을 가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지금부터 노인 연령의 조정을 논의해야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다만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노동인구 감소, 노인 빈곤 문제도 풀어야 하는 만큼, 연금개시연령 조정과 정년 연장도 함께 논의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연합뉴스TV 김동욱입니다. (dk1@yna.co.kr)

#노인연령 #상향 #부양 #부담 #KDI #지하철무임승차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