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뉴스] "손절매 한다고 봐야죠"...2030 '영끌' 매수 열풍 식은 이유 / YTN

  • 2년 전
서울 노원구에 있는 3천 세대 규모 아파트 단지입니다.

전용면적 84㎡ 기준 2020년과 2021년에는 한 달에 많게는 10건 가까이 매매 거래가 이뤄지던 곳입니다.

하지만 올해 들어 이뤄진 거래는 2건뿐이고, 최근 거래에선 직전 거래보다 1억 원 정도 가격이 하락했습니다.

주변 공인중개사들은 매수를 주도하던 2030 세대 발길이 거의 끊긴 걸 주요 원인으로 꼽고 있습니다.

[인근 공인중개사 : 그때(지난해)는 문의하시는 분도 많았고 부모님하고 같이 오신 분도 있고, 여러 가지 부동산에 관심이 많으니까 이것저것 물어보러 오시는 분도 많았고…. 그런데 지금은 전화 자체가, 문의 자체가 아예 없어요.]

최근 몇 년 동안 부동산 시장을 주도했던 2030 세대의 매수세 감소는 서울뿐 아니라 전국에서 나타나고 있는 현상입니다.

2030의 서울 아파트 매입 비중은 지난 6월 24.7%로, 해당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지난 2019년 1월 이후 가장 낮습니다.

한창 집값이 오르던 지난해 7월엔 전체 거래의 절반 수준인 44.8%까지 치솟기도 했습니다.

전국으로 범위를 넓혀도 상황은 비슷합니다.

지난 6월 2030이 차지하는 매매 비중은 27.1%로, 올해 3월부터 계속 하락하고 있습니다.

금리 인상과 경기 침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젊은 층 매수 심리가 크게 위축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함영진 / 직방 빅데이터랩장 : 대출받는 것이 쉽지 않아진 데다 주택 시장 위축으로 시세 차익에 대한 기대가 낮아지면서 2030 세대의 주택 매입 비중이 감소하고 있습니다. 대출에 따른 금융 비용 부담은 늘고 주택 가격은 하락이 예상되면서….]

특히 집값 상승기 때 2030이 적극적인 거래에 나섰던 지역에서는 5명 가운데 1명이 매수 1년 이내에 집을 되팔았습니다.

서울에서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도봉구가 19.6%로 가장 높았고, 강북구가 17.2%였습니다.

[김진유 / 경기대학교 도시·교통공학과 교수 : 대출을 끼고 매입을 한 경우에는 처음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이자 부담이 높아지니까 시세 차익을 거두더라도 이자를 내고 나면 별 의미가 없는 투자가 되기 때문에 얼른 손절매를 한다고 봐야죠.]

정부가 생애 최초 주택 구매자에게 집값의 최대 80%를 대출해주겠다고 했지만, 이자 상환 부담과 집값 하락 우려로 매수 심리가 회복되긴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대규모 주택 공급 계획이 ...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34_202208210509367158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