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읽기] 1분기 경제성장률 0.6%…추정치보다 0.1%p↓

  • 2년 전
[경제읽기] 1분기 경제성장률 0.6%…추정치보다 0.1%p↓


올해 1분기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0.6%로 집계됐습니다.

수출이 성장을 견인했지만 앞선 추정치보단 하향 조정됐는데요.

관련 내용, 박연미 경제평론가와 살펴보겠습니다.

우리나라 1분기 경제성장률이 0.6%로 집계됐습니다. 수출은 3.6% 늘었지만, 소비와 투자가 일제히 지난 분기보다 부진한 모습을 보였는데 경기가 예상보다 둔화되고 있는 걸까요? 1분기 경제성장률, 어떻게 진단하십니까?

1분기 우리 경제의 버팀목이 된 수출에 대한 우려가 큽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장기화되며 원유 등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세로 전체 수입액이 수출액을 뛰어넘고 있고 달러 가치 상승으로 인한 고환율도 하방 압력을 키우고 있기 때문인데 2분기 수출은 어떨까요?

한국은행은 지난 5월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로 2.7%를 제시했었는데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까요? 연 2.7%가 되려면 올해 남은 분기 동안 몇 %씩 성장해야 하나요?

세계은행은 글로벌 경제 성장률을 연초 목표보다 대폭 하향 조정하며 많은 나라들이 스태그플레이션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도 물가 전망치는 상향하고 성장률은 2% 후반으로 조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하는데 한국 경제도 스태그플레이션을 우려해야 하는 상황일까요?

정부가 주택 250만 호 공급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주택 인허가 절차와 기간을 대폭 단축하는 '통합심의' 대상을 민간사업으로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민간의 주택 공급 촉진을 통한 시장 안정을 꾀하는 듯한데 실효성은 어떨까요?

화물연대 파업이 주택건설 현장의 새로운 변수가 되고 있습니다. 원자재 가격 급등이라는 악재를 겪고 있는 건설 업계도 파업 추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데 상황은 어떻습니까?

오늘부터 코로나19 백신 접종 여부와 국적에 관계없이 모든 해외입국자에 대한 격리 의무가 사라집니다. 관광과 교류가 활성화 되는 만큼 일상회복도 더 빨라질 거라 기대해도 될까요?

격리의무 해제와 함께 코로나19로 축소 운영됐던 인천국제공항 항공편 규제도 해제됐는데요. 해제 효과는 언제부터 체감할 수 있을까요? 공항 운영이 100% 정상화되는 시기는 어떻게 예상되나요?

#1분기_경제성장률 #한국은행 #화물연대 #스태그플레이션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