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장 시행인데 현장은 준비 중…혼란 불가피

  • 2년 전
당장 시행인데 현장은 준비 중…혼란 불가피

[앵커]

집중관리군만 재택치료 관리를 받는 체계가 내일(10일)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

일반 환자들은 알아서 몸 상태를 챙기고 기본적으로는 동네 의료시스템에 의존해야 합니다.

시행이 코앞이지만, 현장에선 지금도 준비 부족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김민혜 기자입니다.

[기자]

재택치료 관리를 받는 사람은 집중관리군, 60세 이상과 먹는 치료제를 처방받은 환자에 한합니다.

그 외에는 코로나에 걸려도 격리하면서 스스로 몸을 챙기고, 이상증세가 생기면 우선 가까운 동네 병의원의 전화 상담이나 진료를 요청해야 합니다.

그러나 당장 시행을 앞두고 진료받을 수 있는 곳을 빨리 찾는 게 쉽지는 않은 실정입니다.

"(원장님이) 아직은 안된다고 하셨어요. (준비가) 안 돼 있다고 정부에서 지금 얘기만 하는 거지…"

시·도별로 재택관리지원 상담센터를 마련해 일반 환자의 야간 의료상담에 대응하도록 했지만, 지자체들은 아직 시스템을 충분히 완비하지 못해 난색을 표하고 있습니다.

"24시간 대응을 하려면 의사, 간호사가 인력이 있어야 하는데 인건비 부분이 일단 지원도 안되고…갑자기 하라니까 저희도 좀 많이 힘드네요."

특히 비대면 진료를 통해 처방을 받더라도 약을 받아올 사람이 없는 나홀로 가구는 당장 보건소에 의지할 수 밖에 없는데, 신속한 대처가 가능할지에 대해선 여전히 우려가 적지 않습니다.

"(보건소) 연락이 잘 되지 않았어요. 감기 같다고 말들을 많이 하는데 사실 초반 3~4일, 밤에 심하게 아팠거든요. 심리적인 부담감도 더 컸던 거 같아요. 초기에 관리는 정말 잘 해줘야…"

정부는 오미크론의 특성을 고려한 조치라고 재차 강조하고 있지만, 준비 덜 된 변화에 당분간 혼선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연합뉴스TV 김민혜입니다. (makereal@yna.co.kr)

#재택치료 #집중관리군 #동네의원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