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수본, 미완의 성공…"범죄 추세 맞춰 개편"

  • 2년 전
국수본, 미완의 성공…"범죄 추세 맞춰 개편"

[앵커]

지난해 출범한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LH 투기와 대장동 특혜 의혹 같은 굵직한 사건을 맡아오며, 굵직한 성과를 올렸습니다.

하지만 한계도 적지 않았다는 평가인데요.

국수본은 최근 범죄 추세에 맞춰 새해에는 수사 체제도 개편한다는 방침입니다.

조한대 기자입니다.

[기자]

검·경 수사권 조정으로 지난해 출범한 국가수사본부. 전국 수사경찰 3만명과 18개 시도경찰청을 총괄 지휘하는 수장 선임부터 쉽지 않았습니다.

외부 공모까지 진행한 끝에, 출범 이후에서야 남구준 당시 경남경찰청장이 국수본부장에 임명됐습니다.

"이제 국가수사본부 출범과 함께 온전한 수사 주체로서 책임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역량을 증명해 나가겠습니다."

국수본은 'LH 땅투기 의혹'이란 굵직한 사건을 수사하며 시험대에 올랐습니다.

LH 전·현직 임직원과 공무원·지방의원·지자체장 등을 구속 송치하는 등 일부 성과를 올렸지만, 국회의원 등 고위층 수사에선 국민 기대에 못 미친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습니다.

'대장동 특혜 의혹' 사건을 수사하면서는 검찰과의 엇박자를 드러내기도 했습니다.

검·경 모두 주요 피의자인 유동규씨의 예전 휴대전화를 찾고 있던 상황에서 경찰이 압수수색 영장을 신청했지만, 검찰이 먼저 확보하는 일이 벌어진 겁니다.

성과, 그리고 한계를 모두 보여준 국수본의 올해 목표는 '범죄 실태에 맞는 조직 변화'입니다.

앞서 남구준 국수본부장은 "최근 범죄 추세에 맞춰서 수사 인력과 조직을 개편할 필요성이 있다"며 "경제팀 지능과 사이버팀을 통합해 시범 운영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또한 남 본부장이 "대물 영장만이라도 경찰이 직접 법원에 청구할 수 있는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밝힌 만큼, 국수본은 올해도 영장 청구권을 경찰도 가져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해나갈 전망입니다.

연합뉴스TV 조한대입니다. (onepunch@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