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현장] 일본, '강제징용'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 추진

  • 2년 전
[이슈현장] 일본, '강제징용'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 추진


일본 정부가 조선인 강제징용 현장인 '사도광산'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한 절차에 들어갔습니다.

'군함도'에 이어 역사 왜곡 논란이 재연될 거란 우려가 나오고 있는데요.

호사카 유지 세종대 교수 모시고 관련 내용 짚어보겠습니다.

어서 오세요.

일본 문화청 문화심의위가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노역의 현장인 '사도 광산'을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추천 후보로 선정했습니다. 사도 광산은 일제강점기 조선인들의 강제노역이 이뤄진 곳이죠?

니가타현과 사도시는 전통 채굴 방식과 유적을 앞세워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추진해 왔는데, 특히 눈여겨볼 대목은 신청 대상을 '에도 시대'로 한정했다는 점입니다. 일제강점기가 누락되면서 당시 강제 동원의 어두운 역사를 감추려는 꼼수라는 비판이 나옵니다?

앞서 일본은 2015년 나가사키 군함도 일대를 세계문화유산에 등재하는 과정에서도 한국과 갈등을 빚은 바 있는데요. 군함도에 이어 사도 광산까지, 일본이 세계유산 등재를 자꾸만 욕심내는 이유를 뭐라고 봐야 할까요?

우리 정부는 일본의 사도 광산 등재 본격 추진에 즉각 반발했습니다. 정부는 일본에 대해 2015년 군함도의 세계유산 등재 때 했던 약속부터 이행하라고 촉구했습니다. 당시 관련 정보센터 설치 약속 등 후속 조치가 지금까지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요?

민간외교단체 반크는 일본의 과거사 세탁을 용납할 수 없다며, 글로벌 청원을 시작했습니다. 일본 시민단체도 세계문화유산에 등재하려면 조선인 강제동원의 역사를 포함해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는데요. 일본 국민들은 이 문제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습니까?

한편,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한일 일본군 위안부 합의 6주년인 어제(28일) 한국 측에 합의 이행을 거듭 요구했습니다. 가시다 총리는 당시 일본 외무상으로, 윤병세 당시 외교부 장관과 함께 합의 내용을 발표한 바 있는데요. 당시 합의문에 어떤 내용이 담겼습니까?

일본 측은 10억 엔을 냄으로써 위안부 문제가 모두 해결됐으며, 한국 측이 화해·치유 재단을 해산해 합의 내용을 지키지 않고 있다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우리 정부는 당시 합의 내용에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고 보고 있죠?

지난 1월 한국 법원이 위안부 할머니에 일본 정부가 직접 원고들에게 1인당 1억 원을 배상하라는 판결을 내리자 일본 측은 거세게 반발하며 항의했습니다. 위안부 등 역사문제를 둘러싼 한일 갈등, 어떻게 풀어야 한다고 보십니까?

오는 2023년 봄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방류를 앞두고 일본 정부가 준비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먼저 한국, 대만, 홍콩 등 외국인의 의견을 듣는 인터넷 설문 조사를 추진하고 있는데요. 어떤 설문 조사로 보면 될까요. 구체적인 설문이나 조사 방식이 전해진 바 있습니까?

오는 2023년 4월 중순까지 해저터널 등의 공사를 마친 뒤 본격적으로 방류를 시작한다는 계획인데, 지역 어민단체의 반대가 거셉니다. 한국 등 국제사회의 반발 또한 일본 정부는 국제원자력기구, IAEA를 앞세워 해결하려 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데, 이 부분은 어떻게 보십니까?

지금까지 호사카 유지 세종대 교수였습니다.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