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윗선 수사' 한다는 검찰…유한기 휴대전화 확보 언제쯤

  • 2년 전
'윗선 수사' 한다는 검찰…유한기 휴대전화 확보 언제쯤

[앵커]

대장동 의혹에서 윗선의 연결고리로 꼽히던 유한기 전 본부장이 갑작스레 숨진 이후 이제 관심은 유 전 본부장의 휴대전화에 쏠리고 있습니다.

사망 원인은 물론 배임 윗선 의혹을 풀 실마리가 될 수 있기 때문인데요.

검찰이 적극적으로 휴대전화 확보와 주변 조사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박수주 기자입니다.

[기자]

경찰은 유한기 전 본부장이 숨진 지 이틀 만인 지난 일요일(12일), 추락에 의한 사망으로 추정된다는 1차 부검 결과를 받았습니다.

현재까지 타살을 의심할 만한 정황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검찰은 유 전 본부장 사망 이후 남은 수사를 계속하겠다고 밝혔지만, 1차 부검 결과가 나온 뒤에도 고인의 휴대전화 확보에는 소극적인 모습입니다.

표면적으로는 다른 검찰청에서 지휘하는 사망 사건이 마무리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건데, 이를 두고 검찰 안팎에서는 수사 의지가 부족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옵니다.

유 전 본부장이 주요 피의자이자 윗선 개입 의혹의 '연결고리'로 꼽혔던 만큼 수사팀이 변사 사건과 별개로 영장을 통해 휴대전화를 확보하는 것이 불가능하지 않다는 겁니다.

앞서 검찰은 지난 9월 유동규 전 본부장의 자택 압수수색 당시 유 전 본부장이 버린 휴대전화를 확보하지 못했는데, 당시 유 전 본부장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의 측근인 정진상 선대위 비서실 부실장과 통화한 사실이 뒤늦게 드러나 논란이 됐습니다.

이 때문에 검찰이 유한기 전 본부장의 휴대전화 확보를 비롯해 윗선 개입 의혹의 실체 파악을 위한 주변 조사에도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일각에선 아랫선만 압박 수사했다는 비난에 휩싸인 검찰이 난관 돌파를 위해 조만간 정 부실장을 조사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최근까지 2016년 대장동 사업 보고 문건 결재라인을 따라 조사가 이어졌는데, 이제 남은 주요 인물은 정 부실장과 부시장, 시장 정도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자칫 정치적 논란으로 이어지거나 예기치 못한 방향으로 번질 공산이 있어 신중을 기할 것이란 전망도 있습니다.

연합뉴스TV 박수주입니다. (sooju@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