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되는 재택치료…"병원내 처방·지원 의원 늘려야"

  • 2년 전
확대되는 재택치료…"병원내 처방·지원 의원 늘려야"

[앵커]

코로나 병상 부족 비상이 걸리면서, 당장 입원하지 않아도 되는 무증상·경증환자의 재택치료가 더 확대될 전망입니다.

재택치료가 널리 이뤄지려면 환자 관리나 긴급이송체계 구축이 필수인데요.

현재 운영상황은 어떤지 김민혜 기자가 현장 목소리를 들어봤습니다.

[기자]

서울 영등포구에 있는 재택치료 협력병원.

이곳에서는 기본적으로 하루 두 차례, 전화로 재택치료자의 이상 유무를 살핍니다.

"혹시 상비약 가지고 계신 거 있으세요? 그럼 지금 타이레놀 하나 복용하시고…"

코로나 확산에 무증상·경증 환자도 늘면서 최근 한 주간 재택치료로 배정된 환자는 전국에서 4,246명에 달합니다.

재택치료 확대 방침에 지방자치단체들도 전담 인력 확충이 한창입니다.

재택치료 기간은 무증상·경증환자 모두 열흘, 철저한 환자 관리가 기본입니다.

"산소 포화도 측정기라는 건데요. 이 숫자를 모니터링하는 간호사에게 읽어줍니다. 94% 이하면 중증으로 봐서 병원 입원 대상이에요."

발열 등 이상증세로 재택치료자가 비대면 진료를 요청하면 문진이 이뤄집니다.

비대면 진료에 따라 약 처방도 이뤄지는데, 현장에선 약국이 열지 않는 시간대에 약을 받을 방안이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

"현재까지 외래처방전만 발급하게 되다 보니, 야간엔 약국이 안 열려 있는 경우들도 있고 원내 처방 가능한 방법들을 서울시하고 타진하고 있고…"

정부는 70세 이상이라도 뚜렷한 증상이 없고 예방접종을 마쳤다면, 보호자 돌봄 아래 재택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대상을 넓혔습니다.

하지만 환자가 늘어날수록 거점병원의 효율적 환자 관리가 어려워지는 만큼 지원을 맡을 의원급 의료기관들도 지정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연합뉴스TV 김민혜입니다. (makereal@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