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지는 중복수사 우려…'수사협의회' 가동될까

  • 3년 전
커지는 중복수사 우려…'수사협의회' 가동될까

[앵커]

대장동 의혹을 둘러싼 검찰과 경찰의 '중복수사', '겹치기 수사'를 바라보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핵심수사 대상자가 중첩되고, 수사의 최종 목적지도 동일한 만큼, 긴밀한 협력 체제부터 갖추는게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는데요.

김경목 기자입니다.

[기자]

대장동 특혜 의혹이 확산하자 수사전담팀을 구성하고 인력을 기존 38명에서 62명으로 확대한 경찰.

사건 관련자를 소환하고 계좌 추적 등에 나서고 있지만 지난 4월 금융정보분석원으로부터 수사의뢰를 받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늑장 수사라는 비판에 직면했습니다.

그사이 검찰은 사건의 핵심 피의자 중 한명인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을 구속하는 등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경찰은 검찰에 비해 수사가 미진한 이유가 확보한 자료량 때문이라고 해명했지만 당황하는 모습이 역력합니다.

특히 의혹 실마리를 풀 수 있는 핵심 녹취록은 검찰이 확보한 상황입니다.

경찰 관계자는 "대장동 의혹 관련 녹취록 등 자료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경찰과 검찰의 수사를 놓고 수사의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검찰이 먼저 사건 관련 압수수색을 진행한 상황에서 경찰의 단독 수사는 사실상 어렵다는 겁니다.

경찰도 검·경 수사 협의의 필요성을 내비치고 있습니다.

"각자 고발 사건 위주로 수사를 진행하고 있는 단계인데 수사 진행 경과에 따라서는 협의를 해야될 상황이 올 걸로…"

검찰도 수사기관간 힘겨루기로까지 비춰질 수 있는 현 상황이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습니다.

수사권 조정 후 처음으로 검·경이 동일 사건에 대해 수사를 동시에 진행하는 가운데 올해 신설된 수사기관협의회가 가동될지 관심이 쏠립니다.

연합뉴스TV 김경목입니다. (mok@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