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주 뒤에야 전수검사…동부구치소 확진자 748명으로 급증

  • 3년 전


전국 교도소는 법무부 교정당국이 관리하는 시설이죠.

동부구치소 집단 감염 사태가 이렇게까지 커진 것에 대해 추미애 법무부장관 책임론도 나옵니다.

첫 확진자가 나온 것이 한달 전이었는데, 전수 조사를 너무 늦었다는 것이죠.

법무부의 입장까지 최주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 동부구치소의 코로나19 누적 확진자가 748명으로 불어난 데에는 한 달 밖에 걸리지 않았습니다.

지난달 27일 첫 확진자가 나온 뒤 3차례의 전수검사를 거치면서, 전체 수용자의 30%가 확진 판정을 받은 겁니다.

전문가들은 전수조사가 늦어진 게 대규모 집단 감염의 원인이 됐다고 지적합니다.

지난달 직원 확진자가 처음 발생한 뒤 다른 직원들이 잇따라 확진됐습니다.

3주 뒤에는 수용자도 확진 판정을 받았는데 1차 전수조사는 3주가 지난, 이달 18일에야 진행됐습니다.

[천은미 /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너무 늦게 했다는 거는 굉장히 큰 이번 사태 문제가 된 거죠. 3주 사이에 무증상 감염자에 의해서도 확산 됐을 거고…"

구치소에서 천 마스크를 사용하거나 수감자끼리 함께 식사하면서 확산이 빨라졌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그런데 법무부와 지자체, 방역당국의 해명은 제각각입니다.

법무부는 "첫 확진자가 나온 뒤 전수조사를 요청했지만 질병관리청과 지자체의 의견이 달랐다"는 입장입니다.

질병관리청은 "지침에 따라 접촉자와 노출 가능자를 분류하며 검사를 진행했다"고 반박했습니다.

지자체는 "구치소 내 선별진료소 설치만 했을 뿐" 이후 검사에는 관여하지 않았다고 해명합니다.

각 기관이 해결책을 찾지 못하면서 교정시설 확산세도 겉잡을 수 없이 빨라졌다는 지적입니다.

채널A 뉴스 최주현입니다.

choigo@donga.com
영상취재 : 김건영 박찬기
영상편집 : 조성빈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