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인원 늘리겠다지만…택배 노동자 불안 여전

  • 4년 전
분류 인원 늘리겠다지만…택배 노동자 불안 여전

[앵커]

과로를 호소하던 택배 노동자들의 사망 소식이 잇따르며 택배 업체들이 거센 비판에 직면했죠.

기업마다 분류 인력을 증원하고 물량을 조절하는 등의 대책을 내놨지만, 근본적인 대책부터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방준혁 기자입니다.

[기자]

잇따른 택배 기사 과로사에 고개 숙인 택배사 대표들.

"연이은 택배기사님들의 사망에 대해 회사를 맡고 있고 대표이사로서 책임을 통감하며…"

업계 1위인 CJ대한통운에 이어 한진택배, 롯데택배 등도 분류인력 증원과 물량 조절 등을 골자로 한 대책을 내놨습니다.

하지만 현장 기사들의 불안은 여전합니다.

법적인 강제력이 없고 단순한 회사의 양보 차원이기 때문입니다.

특히 과로사 방지를 위한 비용이 결국 택배 기사에게 전가되는 것 아니냔 우려도 나옵니다.

"사측에서 대리점에게 분류 인력 금액을 전가시키려는 움직임이 있기 때문에 대리점에서 다단계처럼 수수료를 올려서 기사들한테 (비용을) 전가시키지 않겠느냐는 불안감이 있어서…"

인력충원에서 나아가 택배 기사가 받는 '적정 수수료'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택배 기사의 소득이 곧 배송 수수료인 상황에서 택배 1건당 600원 남짓에 불과한 수수료 인상 없이 노동 시간 단축을 논하는 것은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것입니다.

"근로 시간에 대한 규정과 산업 안전에 대한 규정은 바로 적용하는 방식으로 과로사를 방지하고, 수수료 체계를 개편해서 소득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는 방법을 병행해야지만…"

이를 위해 선진국보다 한참 낮은 수준인 택배비를 인상하고, 회사와 대리점, 택배기사로 이어지는 하도급 구조도 손봐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방준혁입니다. (bang@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