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공립대 총장 직선제, 투표권한·반영비율 놓고 갈등

  • 4년 전
국공립대 총장 직선제, 투표권한·반영비율 놓고 갈등

[앵커]

국공립대를 중심으로 교수는 물론 교직원과 학생 등 학교 구성원들이 총장을 직접 선출하는 직선제가 확산하고 있는데요.

그런데 특정 구성원의 투표 참여자격과 각 구성원 투표의 반영비율을 놓고 대립과 충돌이 이어지고 있어 직선제의 취지를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상현 기자입니다.

[기자]

강원대학교 학생과 직원들이 총장 투표 보이콧을 선언하고 나섰습니다.

총장 선거 투표반영비율이 교수 83.33%, 직원 13.33% 학생 3.33%로 결정된 것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겁니다.

이들은 아무런 협의도 없이 교수의 1표가 학생들의 25표와 같은 효력을 갖게 되는 기형적 투표 방식이 정해졌다고 반발합니다.

"저희랑 동의도 없이 특정 한 구성원이 결정한 것이기 때문에 저희는 그걸 절대 수용할 수 없다 이런 입장입니다."

지난 10월 부산대에서는 학교 강사의 단식 농성이 17일간 이어졌습니다.

한시적 직군이란 이유로 강사 800여 명이 총장 투표 대상에서 아예 제외됐기 때문입니다.

총장 직선제가 전국적으로 늘고 있는 추세지만 투표반영비율과 투표권한을 두고 구성원 간의 갈등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들 대학의 투표반영비율도 교수가 80%대로 가장 높았고 직원이 10%대를 보였으며 학생은 5%도 안되는 곳이 대다수였습니다.

강사에게 투표권이 주어진 대학은 단 한곳도 없었습니다.

교육공무원법을 보면 국공립대학은 교수들 간 합의를 통해 결정한 절차와 방식으로 총장 선거를 치를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정규직 교수들이 조금 양보하고 포용하는 자세를 보여줘야 된다. 그렇지 않으면 힘들어요."

국공립대학에선 직선제로 구성원들이 직접 총장을 선출하는 시대가 열렸지만, 반영비율과 보이지 않는 벽으로 인해 본래 취지는 무색해지고 갈등의 씨앗이 되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이상현입니다. (idealtype@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