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겉도는 유해 발굴...DNA 채취 방법부터 바꿔야 / YTN

  • 5년 전
YTN은 어제 6·25 전사자의 유해를 발굴하고 있지만, 정작 신원이 확인되는 경우는 1.3%에 불과하다는 소식을 전해드렸습니다.

정부의 사업이 단순히 발굴 그 자체에 그치지 않기 위해선 유가족들의 DNA를 채취하는 방법부터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이승윤 기자의 후속 보도입니다.

[기자]
수십 년 만에 모습을 드러냈지만, 아직 가족의 품으로 돌아가지 못한 6·25 전사자들의 유해,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해놓은 유가족들의 DNA 정보와 일치하지 않아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유해들입니다.

전사자 신원 확인을 위해 4만5천 명이 넘는 유가족이 DNA를 제공했습니다.

DNA 제공은 구강 상피세포를 채취해서 이뤄집니다.

구강의 세포를 떼어내는 방법은 현재 사용하는 DNA 분석 기법인 STR 검사에 최적화된 것입니다.

비용도 1인당 7만5천 원 정도로 저렴합니다.

[장유량 /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중앙감식센터장 : 유가족분들에게 가장 편하고, 보관도 용이하다 보니까 그 방법을 현재 사용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STR 검사의 정확도가 떨어져 유해 만 2백여 구 가운데 신원이 확인된 비율이 1.3%에 불과하다는 점.

대안으로 SNP 검사가 거론되는데, 이럴 경우, 검사 비용이 70만 원까지 올라가게 됩니다.

구강상피세포로 추출할 수 있는 DNA의 양이 적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혈액을 이용하자는 주장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숭덕 / 서울대 의대 법의학연구소 교수 : 혈액을 활용하면 검사 비용을 대단히 낮출 수가 있고요. 우리가 더 발전된 검사가 언제 나올지 모르면 그 검사에 대비해야 되는 부분이 있는데…. 상피세포는 지금 조금 부족한 것 같아요.]

SNP 검사를 이용했던 제주 4·3 사건 희생자 발굴 사업의 경우, 혈액을 이용해 신원 확인율은 15%로 높아졌지만, 비용은 1인당 30만 원 정도로 줄었습니다.

아직 수습하지 못한 6·25 전사자의 유해는 10만 구가 넘습니다.

지금부터라도 미래를 내다보고 유전자 데이터베이스를 제대로 구축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YTN 이승윤[risungyoon@ytn.co.kr]입니다.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1903190543038003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8585@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추천